본문 바로가기
지방세/용어사전

[용어] 국외사업장, 국외원천소득, 국유재산, 국유재산의 종류

by 런조이 2018. 3. 9.
반응형

 

 

   

 

  

 

 

국외사업장(國外事業場)

해외지점과 같이 국외에 소재하는 사업장을 말한다.

 

국외원천소득(國外源泉所得)

원천소득의 발생지가 국외인 경우를 말한다.

 

국유재산(國有財產  national property)

국가 소유 재산을 국유재산이라고 하며 국유재산법에서 "국유재산"이라 함은 부동산 및 그 종물, 선박 등 정부기업 또는 정부시설에서 사용하는 기계기구, 지상권 등, 특허권 등, 주식 및 증권 등의 재산으로서 국가의 부담이나 기부의 채납 또는 법령이나 조약의 규정에 의하여 국유로 된 것을 말하고 있다. 기획재정부장관(총괄청)이 국유재산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고 각 중앙관서의 장은 그 소관에 속하는 국유재산을 관리한다(관리청). 지방세와 관련하여 국유재산은 그 취득 및 보유에 대한 지방세를 비과세하는데 단, 국유재산을 연부로 취득하고 그 사용권을 무상으로 부여받은 때는 그 매수계약자가 재산세의 납세의무자가 된다. 

 

국유재산의 종류(國有財產의 種類)

국유재산은 그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행정재산 · 보존재산과 잡종재산으로 구분한다(국유재산법 제6조)

行政財產)

가. 공용재산(公用財產)

국가가 직접 그 사무용 · 사업용 또는 공무원의 주거용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기로 결정한 재산

나. 공공용재산(公共用財產)

국가가 직접 공공용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기로 결정한 재산

다. 기업용재산(企業用財產)

정부기업이 직접 그 사무용 ·  사업용 또는 당해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의 주거용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기로 결정한 재산

라. 보존재산(保存財產)

법령의 규정에 의하거나 기타 필요에 의하여 국가가 보존하는 재산을 말한다.

2. 잡종재산(雜種財產)

행정재산이외의 모든 국유재산을 말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