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세/용어사전

[용어] 국민주택, 국세, 국세기본법

by 런조이 2018. 3. 8.
반응형

 

 

   

 

  

 

 

국민주택(國民住宅)

주택법상 국민주택기금에 의한 자금을 지원받아 건설되거나 개량되는 주택으로서 1호 또는 1세대당 전용면적이 85제곱미터(25.7평)이하인 주택을 말한다. 지방세와 관련하여서는 지방세특례제한법상 서민주택건설 등의 지원을 위한 감면제도로서 85㎡이하인 공동주택에 대하여 취득세를 면제하기도 한다. 농어촌특별세법에서는 전용면적기준 85㎡이하인 주거용 건물과 이에 부수되는 토지에 대하여 "서민주택"이라 하면서 농어촌특별세를 비과세하고 있다.

 

국세(國稅  national tax)

과세권의 주체가 국가인 조세를 국세라고 한다. 즉 과세주체에 의한 분류에서 국가가 과세권자인 조세가 국세이고 지방자치단체가 주체가 되는 조세를 지방세라고 한다. 그 목적에서 보면 국가의 경비에 충당하고자 징수하는 조세를 국세라고 하겠다. 그 부과 징수는 국가기관(국세청, 세무서)이 수행함이 원칙이지만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하여 부과 징수하기고 한다.(예 : 농어촌특별세)

 

국세기본법(國稅基本法  Basic National Tax Act)

이 법은 국세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 및 공통적인 사항과 위법 또는 부당한 국세처분에 불복절차를 규정함으로써 국세에 관한 법률관계를 확실하게 하고, 과세의 공정을 도모하며, 국민의 납세의무의 원활한 이행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며, 지방세의 경우도 지방세법에 별도 규정하지 아니한 것은 이 법을 준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지방세기본법의 이 법 준용은 지방세의 세목별 성질, 과세주체, 과세객체의 여건에 따라 합당한 범위 내에서 준용되는 것이므로 한계가 있다. 이 법은 이론상으로는 세법의 범주에 들지만 국세기본법상에서는 세법에서 제외하고 있다.(국세기본법 제2조 참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