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국제회계기준, 권원 보험 - 미국 금융관련 용어

by 런조이 2022. 12. 20.
반응형

국제회계기준(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IFRS 즉, 국제회계기준은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중심이 되어 만든 회계기준법으로 많은 국제 시장 기업이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데 사용하는 규정이다. 2000년 미국 엔론 사태가 계기가 되었다.

 

 

기업의 회계처리와 재무제표에 대하여 국제적인 통일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회계기준위원회(ISAC)'가 공표하는 회계기준이다.

IFRS의 특징은 연결재무제표를 주재무제표로 사용하고 다양한 경영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이는 단순한 재무적 영향을 넘어서 공시체계, 재무 정보 시스템, 경영 성과 지표 등 기업의 전반적인 재무 보고 체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국제회계기준은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기업에서 사용하는 규칙(일반기업회계기준)과 몇 가치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반응형

 

 

권원 보험(title insurance)

권원 보험은 부동산에 관한 권리의 하자로 인하여 부동산소유자, 또는 저당권자등의 피보험자가  입게 되는 손실에 대하여 보상하는 보험을 말한다. 또는, 부동산권리보험이라고도 한다.

문서위조, 사기, 선순위담보권 등과 같이 등기부등본으로 발견할 수 없는 잠재된 위험또는 부동산의 측량 착오, 권리 이전 증서의 위조, 매도인의 무능력 등과 같은 경우, 피보험자의 부동산 권리에 하자가 생길 때 등에 이를 보상해주는 보험이다. 

매도자가 주택을 팔기 전에 주택에 대한 완전하고 정상적인 소유권을 가지지 않았을 경우 매수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보험으로도 설명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