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금8

주식배당, 주식병합 - 용어 주식배당(株式配當 stock dividend) 회사의 이익을 금전으로 배당하지 아니하고 자본으로 전입함으로써 신주를 발행하여 주주에게 지분비율에 따라 무상으로 분배하는 것을 주식배당이라고 한다. 주식병합(株式倂合 consilidation of stocks) 1인의 주주에 속하는 기존의 여러 개의 주식을 합하여 그보다 적은 수의 주식으로 하는 회사의 행위(발행 주식수를 줄이는 것)를 말한다. 이때 회사의 자본금 및 자산에 아무런 변화가 없이 이미 발행된 주식수만이 감소하게 되므로 회사의 입장에서는 주가의 조정이나 주주 관리비의 절감 등으로 기업운영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1주 미만의 주식(단주)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처리 방법에 따라서 주주는 이전만큼의 권리를 잃게 되는 경우도 있다.. 2019. 2. 28.
자본, 자본거래, 자본금 - 용어 자본(資本 stockholder's equity, capital) 일반적으로 재화와 용역의 생산에 사용되는 자산을 자본이라고 하지만 자본이라는 말은 여러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한 마디로 정의할 수는 없는 것인 바, 상법 제451조에서는 발행주식의 액면총액을 말하고 있지만 기업회계상으로는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 등의 합계액을 말하고 있다. 자본거래(資本去來 capital transaction) 증자, 감자, 주식의 할증 발행 · 자기주식처분이익 등과 같이 자본금 및 자본잉여금의 증감 변화를 일으키는 거래를 말한다. 이는 손익거래에 대응하는 용어이다. 자본금(資本金 capital stock) 자본이 되는 금액을 의미하는데 상법상의 자본금인 발행주식 총액은 법인등기부상에 등재되며 법인설립등기시 .. 2019. 1. 3.
순자산, 순자산증가설, 순환개발방식, 스케이트장 - 용어 순자산(純資產 net worth) 대차대조표의 총자산으로부터 부채를 뺀 것을 말하는데, 즉 자본금 · 자본준비금 · 이익준비금 · 이익잉여금 등의 합계액을 말하는 것으로 "자기 자본"이라고도 한다. 총자산 중 순자산이 많으면 많을수록 재무내용이 뛰어난 우량기업이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주식회사의 순자산은 기업의 재산이 아니고 출자자(주주)의 재산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지배적으로 이를 "stock holder's equity(주주지분)"라고 표현한다. 순자산증가설(純資產增加說 increased net assets theory) 소득이란 일정기간말의 순자산의 총액에서 그 기간초의 순자산 총액을 차감한 잔액을 의미한다는 입장의 학설을 말한다. 현행 우리나라 법인세법에서의 소득인식 입장이다. 순환재개발방식(循環再開.. 2018. 7. 26.
[용어] 법정대리, 법정상각방법, 법정상속분, 법정준비금 법정대리(法定代理) 일반적으로 재산의 관리 · 운영 및 법률행위 등은 자기가 직접 자기 책임아래 수행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 원칙을 관철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 등으로서 보통사람에 비하여 능력이 뒤떨어지는 미성년자나 금치산자의 경우 그들의 이익을 위하여, 파산자의 경우는 채권자 등의 이익을 위하여, 부재자의 경우는 부재자 본인 및 이해관계인의 이익을 위하여 각각 그들을 대신하여 재산을 관리하고 법률행위를 할 자가 필요하게 되는 바, 이러한 경우 법률로 대리인을 두도록 직접 규정하고 있다. 이것이 법정대리 제도이다. 한편 행정관청의 업무에서 권한의 전부를 그이 보조기관이나 다른 행정관청이 대리하여 행사하는 것을 "법정대리"라고도 한다. 법정상각방법(法定償却方法) 감가상삭 방법을 법인세법 및 소득세법.. 2018. 5.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