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익20

[용어] 비영업대금, 비영업용승용자동차, 비용 비영업대금 금융업자가 아닌 거주 자의 금전대여로 인한 이익으로 일반적으로 사채이자를 말한다. 소득세법상 비영업적으로 하는 대금의 이익은 이자소득으로 과세되고 있으며 전문적으로 대금업을 하는 경우에는 사업소득으로 과세된다. 전화상이나 복덕방 등 다른 사업장이나 대금업을 명시하지 않은 사무실 등에서 또는 가정에서 개별적으로 금전을 대부하고 이자를 받거나 어음을 할인하고 할인료를 받는 경우 및 유가증권을 담보제공용으로 대여하고 받는 이자 등은 비영업대금의 이익으로 보며, 원금의 반제및 이자지급의 기한 경과 등의 사유로 지급 받는 추가금액을 포함된다. 이러한 비영업대금의 이익은 조건부 종합과세대상으로서 종합소득금액에 포함되어 기본세율을 적용받는다. 비영업용승용자동차(非營業用乘用自動車) 지방세법에서 개인 또는 법.. 2018. 6. 15.
[용어] 부칙, 분가, 분개의 법칙 부칙(附則) 법령에 있어서 그 법령이 정하는 주된 사항(이를 본칙(本則)이라고 한다)에 부수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한 부분의 명칭이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시행일 · 경과규정 · 관계법령의 개폐 등을 규정하고 있다. 분가(分家) 본가(本家)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일가를 창립하는 신분행위를 "분가"라고 한다. 민법상 분가에는 임의분가(任意分家)와 법정분가(法定分家)가 있는데 임의분가는 가족이 그 자유의사에 의하여 임의로 분가하는 것을 말하는 바, 성년은 호주의 동의 없이도 분가할 수 있으나 미성년자는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얻어야 분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민법 제788조). 법정분가는 가족이 혼인하면 당연히 분가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호주의 직계비속 장남은 분가할 수 없다(민법 제789조). 분가.. 2018. 6. 11.
[용어] 미수수익, 미실현이익, 미지급금, 미지급비용, 미환류소득, 민간위탁 미수수익(未收收益) 기업회계에서 현금의 입금여부와는 상관없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익이 실현되는 것으로 보는 계약상의 수익의 경우 기간귀속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당해 기간에 포함되는 이자, 지대, 사용료 등을 말한다. 미실현이익(未實現利益) 기업내부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익 또는 화폐가치의 변동, 본지점간의 내부이익 등을 미실현이익이라고 하는데 기업회계에서 미실현수익은 손익계산서에 산입되지 않음이 원칙이기 때문에 손익계산서를 작성할 때 미실현이익을 제거하는 작업을 한다. 미지급금(未支給金 other accounts payable) 외상매입금과 구별되는 바, 통상적인 거래인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한 채무를 외상매입금이라 하고 그 이외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일시적 채무를 미지급금이라 한다. 미지급비용(.. 2018. 5. 17.
[용어] 대변, 대손금, 대손충당금, 대수선 대변(貸邊 crditor/er) 기업회계에서 분개를 하는 때, 계정별 장부에서 오른편을 대변이라고 하며 그 계정을 대변계정이라고 한다. 이는 차변에 상대되는 것으로서 대변계정에는 자산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의 증가, 수익의 발생이 있다. 대손금(貸損金 bad debts) 경제거래에 있어서 회수가 불가능한 채권을 말한다. 대손충당금(貸損充當金 allowance for bad debts) 장래에 발생할 대손에 대비하여 채권의 일정율을 비용으로 인식하여 설정한 충당금을 말한다. 차후 충당금이 설정된 채권에 대손이 발생하면 대손충당금과 상계하고, 대손없이 회수되면 환입하여 수익으로 인식한다. 대수선(大修繕) "대수선"이라 함은 건축법에서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에 대한 수선 또는 변경과 건축물의 외부형태의 변경.. 2018. 4.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