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질서위반행위의 개념
[질의요지]
「질서위반행위규제법」상 질서위반행위의 개념
[회신]
-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이하 "질서법") 제1조에 따르면 질서법은 법률상 의무의 효율적인 이행을 확보하고 국민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질서위반행위의 성립요건과 과태료의 부과 · 징수 및 재판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또한 질서법 제2조에 따르면 질서위반행위란 "법률(조례 포함)상의 의무를 위반하여 과태료를 부과하는 행위"를 말하는데, 질서법 제1조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결국 질서위반행위란 과태료 부과대상이 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즉, 개별 법률이 규정하고 있는 다양한 의무규정들에 위반하는 행위가 질서위반행위이며, 질서법이 정하는 요건에 따라 질서위반행위가 성립하였다고 판단되면, 그 개별법률에 있는 과태료규정에 근거하여 과태료가 부과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질서법은 과태료의 부과 · 징수 및 재판 · 집행의 절차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세외수입 > 질서위반행위규제법 해석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 국가위임사무를 수행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과태료 부과 여부 (0) | 2017.08.02 |
---|---|
4-1. 질서위반행위자와 과태료 부과청이 동일한 경우 과태료 부과여부 (0) | 2017.08.02 |
4. 행정청 소속의 다른 부서에 대한 과태료 부과 가능 여부 (1) | 2017.08.01 |
3. 국가기관을 상대로 과태료 부과가 가능하지 여부 (0) | 2017.08.01 |
2. 질서위반행위자(과태료 부과 대상자) (0) | 2017.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