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만기 수익률, 매입채무, 매입원가 평균법 - 미국금융 관련용어

by 런조이 2023. 4. 23.
반응형

만기 수익률, 매입채무, 매입원가 평균법 - 미국금융 관련용어

 

 

만기 수익률(yield to maturity, YTM)

채권의 할인율. 채권에 투자한 후부터 만기 상환일까지 기간 동안에 그 채권으로부터 유입되는 모든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그 채권을 매입하는 시점의 매입가격을 일치시키는 할인율을 일컫는다. 

 

만기까지 채권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하는 평균 연수익률에 대한 시장의 전망치라고도 한다. 

또는 단일 수익률, 유통 수익률, 내부 수익률, 시장 수익률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반응형

단, 투자자가 만기 수익률을 실제로 얻기 위해서는, 첫째 채무불이행이 없어야 하고, 둘째 만기일까지 보유하여야 하며, 셋째 모든 액면이자는 만기 수익률과 동일한 수익률로 재투자되어야 한다.  

 

 

 

 

 

 

매입채무(accounts payable)

사업체가 공급 거래처에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빚으로 상품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채무로서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하는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을 말한다.

 

외상매입은 물건을 외상으로 구입했을 때 발생하며 이때 어음으로 지급하면 지급어음이 된다. 쉬운 예로서는 공과금 또는 사무용품에 대한 대금이 외상매입금의 두 가지 예이다. 외상매입금은 외상매출금의 반대 개념이다. 

 

 

 

 

 

매입원가 평균법(dollar cost average)

목표로 하는 주식을 일정 기간 동안 나누어서 매입함으로써 매입 평균 단가를 낮추는 투자방법이다. 

한 번에 목돈을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돈을 투자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만 달러를 한 번에 투자할 수도 있지만 5개월 동안 한 달에 2,000달러씩 투자할 수도 있다. 매입원가 평균법을 따르면 최고점에서 매수하지 않을 수 있지만 또한, 최저점에서 매수할 수도 없게 된다.

 

특정 종목에 일정 금액만 투자하는 적금식 투자방법인데 주가가 높을수록 사고자 하는 주식수가 줄어들고 주가가 낮을수록 사려고 하는 주식수가 늘어나는 특징이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