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처 해석
체납된 이행강제금에 대한 추가 독촉의 효력 여부
[법제처-16-0164(2016.07.15.)기타]
(질의 배경)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근로기준법」 제33조에 따른 이행강제금과 관련하여, 행방불명자나 파산자를 대상으로 이행강제금이 부과된 경우에 독촉으로 계속해서 시효가 연장되면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가
재정법」 제96조제4항에 따른 시효중단의 효력을 최초의 독촉에 대해서만 인정하고 추가 독촉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아니함으로써 조속히 시효를 완성시켜 불납결손처리를 하려 하는데,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이견이 있어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답)
「근로기준법」제33조에 따른 이행강제금이 체납되어 독촉장을 발송하였으나 독촉한 납부기한 내에 이행강제금이 납부되지 아니하여 추가 독촉장을 1차 발송하는 경우, 그 추가 독촉은 「국가재정법」제96조제4항에 따른 시효중단의 효력을 갖습니다.
반응형
'지방세 > 해석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외수입 가산금 및 제2차 납세의무자 적용은 국세(지방세)의 가산금, 제2차 납세의무자 규정까지 준용 불가 (0) | 2021.03.26 |
---|---|
독촉없이 행한 압류처분의 효력 (0) | 2021.03.18 |
독촉 없이 행한 압류처분의 효력 (0) | 2021.03.07 |
체납변상금 독촉의 시효중단 효력에 관한 질의 (0) | 2021.03.06 |
소멸시효를 중단시키는 독촉의 의미 (0) | 2021.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