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세/용어사전

자본잉여금, 자본적 지출 - 용어

by 런조이 2019. 1. 3.
반응형

 

 

 

 

 

자본잉여금(資本剩餘金  capital surplus)

회사의 영업이익 이외의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는 잉여금을 말하는데, 즉 주식발행시의 액면초과한 금액, 자본감소의 경우 감소액이 반환액을 초과한 금액, 회사합병의 경우 소멸된 회사의 순자산액, 재평가적립금, 자본적지출에 충당한 국고보조금 및 공사부담금, 보험차익, 자기주식처분이익, 자본보전을 위한 자산수증익 및 채무면제이익 등 자본거래에 의하여 발생한 잉여금을 말한다.

자본적 지출(資本的支出 capital expenditure)

고정자산에 관한 지출중에서 고정자산의 가치를 증가시키거나 내용연수(耐用年數)를 증가시키는 지출을 말한다. 이는 수익적지출에 대응한 용어인 바, 고정자산의 가치를 보전하는데 그치는 지출을 수익적지출이라고 한다. 자본적지출은 자산에 계상하고, 수익적지출은 수선비 등의 과목으로 비용에 계상하는데, 고정자산에 관한 어느 지출을 자본적지출로 처리할 것인가 또는 수익적지출로 처리할 것인가는 기업의 손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구별은 기업회계뿐만 아니라 세법의 소득계산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자본적지출은 기업의 기간손익을 계산함에 있어서 그 지출의 효익이 당기에 그치지 아니하고 차기 이후까지 미치기 때문에 이를 자본화하여 당해 고정자산의 내용연수에 따라 안분하여 비용처리 한다는 의미가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