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막상식

요가(Yoga)의 의미, 어원, 유래

by 런조이 2022. 12. 22.
반응형

요가(Yoga)

인도의 정신수련법으로 알려진 요가는 자세와 호흡을 가다듬어 정신을 통일시키는 인도의 고유한 수행법으로 2016년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 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  

 

 

요가는 현대인들에게 건강 요법이자 치료법으로 자리를 잡아가며 일반 스트레칭과는 달리 다양한 효과를 주고 있다. 

이러한 요가는 별도의 기구없이 매트만 있다면 어디서든 수련이 가능한 심신 수련에 해당하는 운동이며, 몸의 이완과 호흡에 집중하면서 명상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몸보다는 마음을 다스리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요가(Yoga)라는 말의 어원은 고대 인도어 유즈(Yuj) 또는 유이(Yui)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유즈는 '말을 마차에 매다'라는 뜻이고, 유이는 '삼매경에 빠지다'라는 의미이다. 

 

반응형

 

요가가 처음 '명상'을 의미하는 말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500~300년경부터이다.

인도의 고대 문헌 <우파니샤드>에 보면

※ 우파니샤드는 기원전 700년경부터 수 세기를 거치며 형성된 고대 인도의 여러 종교적, 철학적 사색의 기록들을 모은 책이다

 

인간의 마음을 말에, 인간의 육체를 마차에, 그리고 인간의 영혼을 그 마차에 타고 있는 사람으로 비유하여 '영혼인 사람이 말(馬)인 마음을 잘 통제하여 바른 길로 갈수 있게 하는 것'이 바로 요가라고 적고 있다. 

 

이 비유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요가는 심신을 조절하여 참 자아를 진정으로 자유롭게 한다는 뜻이다. 

 

.

 

요가의 원래 목적은  특정한 호흡법과 몸동작과 명상을 통해 몸과 마음을 자연 상태로 회복하는 것은 물론, 인간 정신의 중심부인 일곱 차크라(chakra)에 기를 모아 신인합일(神人合一)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그러한 종교적 색체는 배제하고, 건강한 심신을 유지하기 위한 '정신적 · 육체적 체조'의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