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막상식

부메랑(boomerang) 뜻, 의미, 원리, 종류, 유래, 어원

by 런조이 2024. 3. 2.
반응형

 

부메랑(boomerang)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이 사용하던 투척 무기로, 던지면 회전하며 날아가 목표물에 맞지 않으면 다시 던지는 사람에게 돌아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상 다시 돌아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나무, 뼈, 뿔 등으로 만들어지며, 날개 모양의 형태가 일반적이다.

 

 

 

 

부메랑(boomerang) 뜻, 의미, 원리, 종류, 유래, 어원
부메랑(boomerang) 뜻, 의미, 원리, 종류, 유래, 어원

 

 

 

 

부메랑(boomerang) 뜻, 의미

부메랑(boomerang)은 호주 원주민들이 사냥과 전쟁을 위해 사용하던 휘어진 나무 조각 무기를 말한다. 부메랑의 특징은 던지면 공중을 빙글빙글 돌다가 다시 던진 사람에게로 돌아오는 것인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부메랑을 '돌아오는 창'이라고도 한다. 의미적으로는 자신의 행동이나 말이 결국 자신에게 돌아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부메랑(boomerang) 원리

부메랑이 돌아오는 원리는 날개의 비대칭 구조와 공기역학적 효과 때문이다. 부메랑의 한쪽 날개는 다른 날개보다 더 넓고 곡선이 더 크다. 던지면서 회전하는 부메랑은 이 비대칭 구조로 인해 한쪽 날개에 더 많은 양력이 발생하여, 마치 비행기가 날개의 양력 차이로 곡선 비행을 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 회전하며 날아간다. 또한, 회전하는 부메랑은 자이로스코픽 효과로 인해 방향을 유지하며, 이 효과는 부메랑이 목표물에 맞지 않더라도 던지는 사람에게 돌아오게 된다.

 

반응형

부메랑(boomerang) 종류

1. 리터닝 부메랑

던지면 다시 돌아오는 부메랑이다. 특수하게 제작된 부메랑으로서, 무게가 가볍고 두께 또한 얇으며, 날개에 홈이 파여서 양력을 잘 받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던지면 돌아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날개 모양이 비대칭이며, 무게 중심이 던지는 사람 쪽으로 치우쳐 있다. 주로 놀이용, 스포츠용으로 사용된다.

2. 킬링 부메랑

사냥용 또는 전투용으로 사용되는 부메랑이다. 원시 사회에서 부메랑의 주요 용도였다. 리터닝 부메랑과는 달리 던지면 돌아오지 않고 날카롭고 무거우며, 목표물에 박히게 만들어졌으며, 최대한 멀리 날릴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부메랑(boomerang)  유래, 어원

부메랑(boomerang)은 호주 원주민들이 새나 짐승을 사냥할 때, 또는 전투나 놀이 등에 사용하던 꺽쇠형 도구의 이름이다. 날아갈 때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바람과 대화하고 싶다'라는 뜻의 이름이라고 하는데 정확하지는 않다. 부메랑이라는 단어의 정확한 어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호주 원주민 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8세기말 제임스 쿡 선장이 최초로 호주 대륙에 상륙했을 때, 선원 중 한 사람이 원주민들이 들고 있는 ㄱ자형 나무막대기를 보고 그것이 무엇이냐고 묻자, 그들이 '부메랑'이라고 대답했고, 그것이 그대로 그 물건을 가리키는 말로 유럽에 전해졌다.  이 단어가 18세기 유럽인 탐험가들에 의해 유럽으로 전해지면서 오늘날 사용하는 'boomerang'이라는 영어 낱말이 만들어졌고, 우리말로는 '부메랑'이라 음차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메랑을 호주 원주민들이 최초로 사용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그와 비슷한 투척무기들이 이미 아메리카 인디언들이나 브라질, 인도, 아프리카 등지에서도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붐(boom) 뜻, 유래, 어원

붐(Boom)은 특정한 분야나 사회적 현상이 급속도로 성장하거나 인기를 끌 때 사용되는 표현이다. 원래 '호황’이나 ‘인기’ 등의 의미를 가진 단어로서 '대유행’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붐(

learnjo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