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막상식

매머드(mammoth) 뜻, 종류, 특징, 멸종원인, 유래, 어원

by 런조이 2024. 3. 1.
반응형

 

매머드(mammoth)는 빙하기에 살았던 거대한 포유류 동물로, 코끼리와 유사한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털이 많고 긴 어금니와 큰 몸집을 가지고 있었다. 약 1만 년 전에 멸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서 화석으로 발견된다. 인류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식량 자원으로 활용되었고, 뼈와 가죽은 생활용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매머드(mammoth) 뜻, 종류, 특징, 멸종원인, 유래, 어원
매머드(mammoth) 뜻, 종류, 특징, 멸종원인, 유래, 어원

 

 

 

매머드(mammoth) 뜻

매머드(mammoth)란 고대 시대에 존재하던 대형 포유동물로, 멸종된 종이다. 이 동물은 대부분의 종이 약 4,500년 전에 지구상에서 사라졌으며, 거대한 몸집과 꼬리, 굵은 털이 특징이다. 매머드는 적색목(적색 동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매머드(mammoth) 종류

과거에는 10종 이상의 매머드 종류가 존재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털매머드(Mammuthus primigenius), 콜롬비아 매머드(Mammuthus columbi), 휜 상아 매머드(Mammuthus imperator) 등이 있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종은 고대 매머드(Mammuthus)로 알려진 종이다. 이 종은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며, 주로 북방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매머드를 영어 발음에 맞게 '맘모스'라고 하기도 하는데, 국어사전에서는 매머드로 순화하고 있다. 

 

반응형

매머드(mammoth) 특징

매머드의 몸길이는 약 45미터에 달하고, 몸무게는 510톤에 이른다. 굵은 털을 가지고 있으며, 귀에는 긴 털이 달려 있는데 굵은 털과 지방층으로 몸을 보호하며, 긴 아래털과 짧은 윗털을 가지고 있어 추운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었다.

 

 

매머드(mammoth) 멸종원인

매머드는 약 4,500년 전에 멸종되었는데, 멸종의 주된 원인은 기후 변화와 인간의 영향 때문으로 여겨지고 있다. 인간의 사냥과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인해 식량 부족과 생존 환경의 악화로 인해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매머드는 일반적으로 빙하기의 추위 때문에  멸종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상아 때문이라는 학설이 대두되어 관심을 끌고 있다. 즉, 종족 번식과 구애를 위해 수컷들이 경쟁적으로 상아를 웃자라게 하는 바람에 몸무게의 1/3에 달하는 상아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멸종했다는 것이다. 

 

 

 

매머드(mammoth) 유래, 어원

매머드라는 단어는 러시아어 '마몬트(Мамонт)'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 단어는 우랄어족 언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말로는 '매머드’가 국립국어원에서 지정한 표준 표기다. 영어로 'mammoth’라는 단어는 "큰"이나 "거대한"이라는 뜻이다. 이는 매머드가 그들의 현대 후손인 코끼리처럼 매우 컸기 때문인데, 알려진 가장 큰 종은 쑹화강(송화강) 매머드와 스텝 매머드로서, 어깨까지의 높이가 무려 5m에 육박한다. 이처럼 '매머드’라는 단어는 그 자체로 그 동물의 크기와 거대함을 암시하는 어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추정으로는 빙하시대에 북반구의 유라시아 설빙지역에 살았다고 하는 거대한 코끼리 매머드(mammoth)는 '흙의 동물'이라는 뜻의 슬라브어 마몬트(mamont)에서 나온 말이라는 설이다. 

유라시아 지방에 살던 야쿠트족이나 퉁구스족은 설빙 속에서 어쩌다 발견되는 매머드가 매번 시체상태였으므로, 그것을 흙 속에서 살다가 밖으로 나오면 죽는 동물, 즉 '흙의 동물'이라 불렀다. 

 

 

 

마네킹(mannequin) 뜻, 의미, 유래, 어원

마네킹(mannequin)은 의류나 액세서리 등의 상품을 전시하거나 광고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형이나 모형을 말한다. 마네킹(mannequin) 뜻, 의미, 유래, 어원등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마네킹(mannequin) 뜻,

learnjo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