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정보207 MCP 관련주, 좁은 공간에 많은 기능을 (소부장 분야) MCP 관련주, 좁은 공간에 많은 기능을 (소부장 분야) 1. MCP의 의미 Multi Chip Package의 약자로 2개 이상의 반도체 칩을 적층해 하나의 패키지로 만드는 기술이다. 겉으로 보면 한 개의 반도체처럼 보인다. 굳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칩의 탑재 공간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최근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핵심부품으로 등장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좁은 공간에 많은 기능을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휴대기기에 꼭 필요하다. 2. MCP 연관 단어 WLP Wafer Level Package의 약어로 웨이퍼 가공 후 하나씩 칩을 잘라 내 패키징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웨이퍼 상태에서 한 번에 패키지 공정 및 테스트를 진행한 후 칩을 절단하여 완제품을 만들어 내는 기술 3. MC.. 2022. 8. 14. 비자립형 5G 방식 관련주, 4G와 5G의 연동(5G 분야) 비자립형 5G 방식 관련주, 4G와 5G의 연동(5G 분야) 1. 비자립형 5G 방식의 의미 현재 5G 이동통신은 기존의 LTE 이동통신망에 5G 기지국을 추가 연결한 형태이다. 이러한 비자립형(Non-Stanalone) 구조가 적용된 데는 5G가 직진성이 뛰어난 주파수라는 점을 들 수 있다. 5G는 고주파를 사용하면서 더 빠르고 더 많은 데이터를 전달하지만, 반대로 주파수가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짧기에 더 많은 기반 시설을 필요로 한다. 5G를 상용화 하기 위하여 초기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5G LTE망에 기지국을 종속시켜 서비스로 쉽게 진화 할 수 있도록 비자립형 망을 구축하여 이용하는 것을 비자립형 5세대 이동 통신이라고 한다. 2. 비자립형 5G 방식 연관 단어 자립형 5G 5세대 이동통.. 2022. 8. 13. DRAM 관련주,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주류(소부장 분야) DRAM 관련주,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주류(소부장 분야) 1. DRAM의 의미 RAM은 전원을 공급하는 한 데이터를 보존하는 SRAM과 시간이 흐르면서 데이터가 소멸되는 DRAM(Dynamic Random Acess Memory)으로 나뉜다. 즉 DRAM은 휘발성 기억소자이며, 그렇기 때문에 기억장치의 내용을 주기적으로 재생시키기 위해 리프레시을 위한 제어회로가 시스템에 탑재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이 있지만 DRAM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주류를 이루는, 비중이 매우 큰 제품이다. 여섯 개의 트랜지스터가 필요한 SRAM과 달리 한 개의 트랜지스터와 한 개의 커패시터만 있으면 되고, 고밀도 집적에 유리하다. 또한 전력 소모가 적고 가격이 저렴하다. 2. DRAM 연관 단어 반도체 기억장치 집적회로기.. 2022. 8. 12. 프롭테크 관련주, 부동산정보를 앱으로 빠르게(4차산업 분야) 프롭테크 관련주, 부동산정보를 앱으로 빠르게(4차산업 분야) 1. 프롭테크의 의미 프롭테크(proptech)는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을 결합한 용어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첨단 정보기술(IT)을 결합한 부동산 서비스이다. 그중의 하나가 애플리케이션으로 집을 구하고 계약하는 서비스이다. 직방과 다방이 그 예이다. 과거에는 부동산에 가야 매물을 실제로 보고 시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각종 부동산 애플리케이션에서 가격 정보와 집 안 구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매매, 전세, 월세 또는 원룸, 투룸, 빌라, 아파트 등 내가 원하는 유형별로 검색을 할 수 있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매매 정보가 투명하다는 장점이 있다. 차세대 .. 2022. 8. 11. 네트워크 슬라이싱 관련주, 여러개의 가상 네트워크로 나누다(5G 분야) 네트워크 슬라이싱 관련주, 여러개의 가상 네트워크로 나누다(5G 분야) 1.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의미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은 말 그대로 네트워크를 쪼갠다는 개념이다. 하나의 네트워크 인프라(infrastructure)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가상 네트워크로 나누고, 서로 다른 특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끔 한다. 5G의 핵심 서비스로 이를 통해 초고선명(UHD) 동영상, 증강 현실(AR) 및 가상 현실(VR) 콘텐츠, 홀로그램, 자율주행차, 스마트 팩토리, 원격의료, 로봇 및 드론 원격 조정 등이 가능해진다. 이외에도 다양한 산업과 융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단,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은 5G에 등장한 신기술로 가상화된 네트워크 환경에서만 구현될 수 있어 소프트웨어 정의.. 2022. 8. 10. 망 중립성 관련주, 콘텐츠사업자 차별금지 정책(5G 분야) 망 중립성 관련주, 콘텐츠사업자 차별금지 정책(5G 분야) 1. 망 중립성의 의미 지난 10년간 정보통신기술업계의 최대 이슈 중 하나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ISP,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가 자사 망을 이용하는 콘텐츠 사업자(CP)를 차별해 서비스를 차단하거나 느리게 해서는 안 된다는 정책이다. 카카오톡, 유튜브, 넷플릭스 등은 콘텐츠 사업자에 해당한다. 2. 망 중립성 연관 단어 콘텐츠사업자 콘텐츠를 소유·판매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보유한 사업자 ISP 국제회선과 자체 인터넷 접속 노드를 통해 개인 가입자들과 기업들을 인터넷에 연결시켜 주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를 말한다. 인터넷 제공사업자라고도 한다. 3. 망 중립성 관련주의 전망 2011년에는 카카오톡과 최근에는 페이스북, .. 2022. 8. 9. 이전 1 2 3 4 5 6 ··· 3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