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M 관련주,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주류(소부장 분야)
1. DRAM의 의미
RAM은 전원을 공급하는 한 데이터를 보존하는 SRAM과 시간이 흐르면서 데이터가 소멸되는 DRAM(Dynamic Random Acess Memory)으로 나뉜다.
즉 DRAM은 휘발성 기억소자이며, 그렇기 때문에 기억장치의 내용을 주기적으로 재생시키기 위해 리프레시을 위한 제어회로가 시스템에 탑재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이 있지만 DRAM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주류를 이루는, 비중이 매우 큰 제품이다.
여섯 개의 트랜지스터가 필요한 SRAM과 달리 한 개의 트랜지스터와 한 개의 커패시터만 있으면 되고, 고밀도 집적에 유리하다. 또한 전력 소모가 적고 가격이 저렴하다.
2. DRAM 연관 단어
반도체 기억장치
집적회로기술로 아날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주로 디지털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IC메모리
Intergrated Circuit Memory. 반도체 집적회로를 이용한 컴퓨터 주기억장치 소자로 크게 기입 판독이 가능한 RAM과 판독 전용인 ROM으로 나뉜다.
트랜지스터
규소와 게르마늄으로 만든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세 개의 층으로 접합한 형태이다.
3. DRAM 관련주의 전망
반도체 초과 수요로 몸살을 앓았는 적이 있다. 최근에는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이 치열하다. 이 모두에 DRAM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시장규모는 더욱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4. DRAM 관련 종목
관련 종목으로는 테크윙, 유니테스트, SK하이닉스 등이 있다.
테크윙(089030)
반도체 후공정 라인에서 사용되는 자동화 장비를 설계, 개발, 판매 중이다. 주력 제품은 양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이다. 종속회사로는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 공정용 전기, 광학 검사장비 제조업체인 '이엔씨테크놀러지' 포함 6개사가 있다.
유니테스트(086390)
반도체 후공정(반도체 검사장비)업체로서 메모리 모듈 테스터 및 메모리 컴포넌트 테스터를 국내 업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반도체 후공정 테스터인 DRAM 및 NAND 번인테스터를 제품군으로 보유하고 있다.
SK하이닉스(000660)
반도체소자 제조 및 판매 기업이다. 주력 생산 제품은 DRAM, 낸드플래시, MCP와 같은 메모리반도체이다. 2007년부터 시스템LSI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출하였다. 2020년 10월 인텔의 NAND 사업 양수를 결정하였다.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은 DRAM 29.4%, 낸드플래시 12.2%이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CP 관련주, 좁은 공간에 많은 기능을 (소부장 분야) (0) | 2022.08.14 |
---|---|
비자립형 5G 방식 관련주, 4G와 5G의 연동(5G 분야) (0) | 2022.08.13 |
프롭테크 관련주, 부동산정보를 앱으로 빠르게(4차산업 분야) (0) | 2022.08.11 |
네트워크 슬라이싱 관련주, 여러개의 가상 네트워크로 나누다(5G 분야) (0) | 2022.08.10 |
망 중립성 관련주, 콘텐츠사업자 차별금지 정책(5G 분야) (0) | 2022.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