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망 중립성 관련주, 콘텐츠사업자 차별금지 정책(5G 분야)

by 런조이 2022. 8. 9.
반응형

망 중립성 관련주, 콘텐츠사업자 차별금지 정책(5G 분야)

 

1. 망 중립성의 의미

지난 10년간 정보통신기술업계의 최대 이슈 중 하나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ISP,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가 자사 망을 이용하는 콘텐츠 사업자(CP)를 차별해 서비스를 차단하거나 느리게 해서는 안 된다는 정책이다.

카카오톡, 유튜브, 넷플릭스 등은 콘텐츠 사업자에 해당한다.

 

 

 

2. 망 중립성 연관 단어

콘텐츠사업자

콘텐츠를 소유·판매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보유한 사업자

 

ISP

국제회선과 자체 인터넷 접속 노드를 통해 개인 가입자들과 기업들을 인터넷에 연결시켜 주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를 말한다.

인터넷 제공사업자라고도 한다.

 

3. 망 중립성 관련주의 전망

2011년에는 카카오톡과 최근에는 페이스북, 유튜브, 넷플릭스와 갈등이 불거진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망 중립성 원칙과 관련하여 어떤 결론을 내놓을지를 두고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반응형

 

4. 망 중립성 관련 종목

관련 종목으로는 스튜디오드래곤, 키다리스튜디오, KT, LG유플러스, SK텔레콤 등이 있다.

 


스튜디오드래곤(253450)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VOD, OTT 등을 통한 유통 및 관련 부가사업을 영위한다. 완성도와 화제성 높은 드라마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전통 미디어, 디지털, OTT 등 뉴미디어까지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해외 로컬 제작사, 방소사들과 파트너십을 통하여 현지화를 확대하고 있다. 

 


키다리스튜디오(020120)

웹소설 및 웹툰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한다. 웹툰 서비스는 콘텐츠 서비스 이용료가 소액으로 책정되어 판매되어 소비자의 진입장벽이 상당히 낮다. 국내외 경제 상황이나 경기변동 등에 둔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인다.

 


KT(030200)

ICT, 금융사업, 위성방송서비스사업, 기타 사업(부동산업 등)을 영위한다. 무선통신, 초고속 인터넷, IPTV 등 핵심 사업에서의 지속적인 성장뿐 아니라 IDC, Cloud, AI/DX 등 B2B 성장사업에서도 성과를 창출하며 2020년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변화해 나가는 중이다.


LG유플러스(032640)

LG그룹 계열사로 무선, 스마트홈, 기업 서비스 시장의 통신사업을 영위한다. LG헬로비전, 아인텔레서비스, 시에스리더 등 10개 회사를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다.


SK텔레콤(017670)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 무선통신사업, 전화 초고속 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을 포함한 유선통신사업, 플랫폼 서비스, 인터넷 포털 서비스 등의 기타 사업을 영위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