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일정보22

탱자 먹는법 탱자 먹는법 탱자는 4월중에 하얀꽂이 피는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이며 원산지는 중국과 한국이다. 탱자의 열매는 향기가 매우 좋으며 가을이 되면 4cm가량의 동그랗고 노란 귤모양의 열매이다. 날카로운 가시가 있어 탱자를 예전에는 울타리로 많이 사용했다. 특히 귀양온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도록 산울타리로도 사용되었다고 문헌의 기록에도 있다. 한방에서는 탱자의 열매, 줄기, 뿌리 등을 모두 사용하는 귀중한 한약 재료이다. 열매 껍질은 진통제, 해열제, 이뇨제로 쓰이기도 한다. 탱자의 어린 열매는 여러등분하여 말린 것을 습진등에 사용하기도 한다. 탱자는 비타민C와 구연산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건위 및 피로회복에 좋다고 한다. 탱자는 날것으로 먹기에는 부담스러워 주로 차형태로 끓여 마시거나 좋은 향기를 이용하.. 2016. 12. 3.
다래 먹는법 다래 먹는법 다래는 낙엽 덩굴 식물인 다래나무의 열매이다. 우리나라의 깊은 골짜기나 산기슭에 자라는 대표적인 야생 과실이다. 크기는 대추 정도이고 색깔은 초록빛이 도는 단맛이 강한 열매이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기도 한다. 열매는 날것으로 따서 먹거나 술을 빚기도 한다. 다래는 유기산과 비타민 등이 들어 있어 식욕 증진및 피로 회복에 효과가 좋다. 또한 구토가 나거나 소화불량일 때도 약효가 있다. 당뇨병, 황달을 치료하는데도 도움이 되며 갈증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다래는 추위에도 잘 견디고 아무곳에서나 잘 자라고 번식이 쉬운 나무이기도 하다. 시원한 그늘을 만드는 정원의 정원수로도 사용된다. 비슷한 식물로 개다래, 쥐다래, 섬다래 등이 있다. 다래는 채취하며는 금방 익으면서 물러지기 때문에 배송과 보관에.. 2016. 11. 30.
모과청, 모과쨈, 모과술 만들기 모과청 만들기 모과 적당량을 준비한다. 준비된 모과에 베이킹 소다를 뿌려준 다음에 그 위에 식초를 부어준다. 식초를 부어 거품이 끓어 오르고 난뒤에 거품이 사라지면 모과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어 30분정도 모과가 잠긴상태로 둔다. 모과를 건져 낸뒤에 굵은 소금으로 모과를 박박 문질러 깨끗하게 세척한다. 깨끗하게 세척한 모과를 다시 깨끗한 소금물에 30분정도 담그어 둔다.(모과가 부드러워 진다.) 소금물에서 건져낸 후 물기를 완전히 말려준다. 이제 본격적으로 모과를 이용하여 모과청을 만든다. 우선 칼로 잘익은 모과를 잘라서 까만색 씨를 발라 낸다. 씨는 버린다. 모과과육을 보기좋게 적당히 썰어 준다. 소독한 유리병에 기호에 따라 백설탕이나 흑설탕을 깔아준다. 모과와 설탕을 교대로 칸칸이 쌓아준다. 맨 마지.. 2016. 11. 29.
모과 먹는법 모과 먹는법 모과는 꽃말이 유혹이다. 모과는 신맛, 단맛, 떫은맛이 나는 과일이다. 모과는 가을에 익는 과일의 향기도 좋지만 봄에 피는 연한 홍색의 꽃도 아름답다. 그리고 나무껍질에 흰무늬가 있어 아파트 단지 조경수나 가정집의 정원수로 쓰이는 등 관상용으로 많이 쓰이는 식물이다. 모과의 과일은 9~10월에 노랗게 익는다. 잘 익은 모과를 따서 실내나 자동차 내부에 놓아두면 실내 공기를 은은하게 향을 내면서 공기를 맑게하고 냄새를 제거한다. 또 연초록빛일때 따다가 놓아도 노랗게 익어가면서 은은하게 향기를 품어내어서 매력적인 과일이다. 모과를 예쁜 대바구니에 담아 서재나 거실등에 놓아 두면 향도 좋고 인테리어용으로도 아주 제격이다. 모과 향은 적당히 강하고 달콤하고 상큼하기도 하다. 모과에 대해 알아보면 네.. 2016. 11. 28.
자몽 먹는법 자몽 먹는법 자몽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자몽은 포도향이 나고 포도송이처럼 열매가 열려 그레이프프루트라고 불리우는 나무의 열매로서 왕귤나무의 자연 잡종이다. 원산지는 미국 플로리다와 캘리포니아이다. 플로리다산이 껍질이 얇고 과즙이 풍부하여 먹기에 좋다. 자몽의 맛은 단맛과 신맛이 섞여져 있다. 과육은 분홍색과 노란색이 있다. 분홍색 자몽은 과육이 단맛이 강하고 노란색 자몽은 과육이 신맛이 강하다. 자몽의 과피는 안쪽 부분의 섬유질이 쓴맛을 내는 원인이라고 한다. 쓴맛을 없애고 싶으면 속과피를 제거하면 된다. 자몽은 기후 관계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자몽의 성분 자몽의 주성분은 니아신, 나트륨, 단백질, 당질, 레티놀, 베타카로틴, 비타민A, 비타민B1, B2, B6, 비타민C, 비타민E, 식이섬유, 아연.. 2016. 11. 5.
멜론 먹는법 멜론 먹는법 멜론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멜론은 달달한 맛과 특유의 감미로운 향기가 난다. 멜론의 원산지는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남부,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중동으로 알려져 있다. 멜론은 캔털 루프계, 그물 맬론계, 겨울 멜론계의 3가지 분류가 있는데 이중에서 그물 멜론계와 캔털 루프계의 멜론은 향이 감미로워 머스크(사향노루) 멜론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그물 멜론과 겨울 멜론과 참외를 인위적으로 교배하여 개량한 품종인 노지 재배용 멜론이 보급되었는데, 노지 재배중에서 참외의 좋은 점을 물려받은 프린스 멜론이 대표적이 품종이 되었다. 주로 따뜻한 나라에서 멜론을 많이 심고 있고 주요 생산지로는 중국, 프랑스, 스페인, 미국, 터키, 프랑스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남 산청, 전남 곡성, 나주, 담양등이다... 2016.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