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AI 스피커 관련주, 차세대 UI 플랫폼(4차 산업 분야)

by 런조이 2022. 4. 24.
반응형

AI 스피커 관련주, 차세대 UI 플랫폼(4차 산업 분야)

1. AI 스피커의 개요

AI 스피커는 인공지능 스피커(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I Speaker), 또는 스마트 스피커라고 불린다.
음성 인식을 통해 음악 감상, 정보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 일반 스피커와의 차별점이다.

즉, 기존 스피커에 AI 기능을 더하여 인간의 음성을 인식한 후 스피커가 스스로 생각하게 하여 인간이 필요로 하는 요구 사항을 해결하여 준다.

단순한 음악감상이나 라디오 감상 외에 집 안의 가전기기 등을 제어하는 허브 역할도 한다.
이러한 AI 스피커로 인하여 편의성뿐만 아니라 업무의 효율성도 증가된다.

최근에는 독거노인이나 치매노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스피커 '아리아'가 출시되기도 했다.

2. AI 스피커의 시장 규모

세계 시장 규모
- 미국의 정보 기술 연구 및 자문 회사인 가트너에 따르면 AI 스피커 시장 규모는 2015년에 4,050억 원에서 2020년에는 약 2조 3,600억 원 규모를 예상하였다.


3. AI 스피커 시장의 현황

2017년 현재 AI 스피커 시장을 지배하는 기업은 아마존과 구글이다. 아마존은 에코라는 제품으로, 구글은 구글홈이라는 제품으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앞선 AI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점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뒤늦게 이 시장에 합류한 애플(홈팟)과 마이크로소프트(인보크)는 고급화 전략으로 차별화를 통한 전략으로 맞서고 있다.
AI 스피커를 음악감상용으로 사용하는 소비자가 많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음질에서 차별화를 선택하여 음질이 뛰어난 스피커로써 승부를 내려하고 있다.


애플의 홈팟은 아마존과 구글 제품보다 무려 배 이상 비싼 전략으로 판매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아에 스피커 제작을 명품 스피커 제조사로 유명한 하마카돈에 의뢰하였다.



4. AI 스피커 연관 단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 계발 등을 컴퓨터가 스스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학습시켜 인간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

사물인터넷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다. 주위의 사물 하나하나가 무선 인터넷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는 사람의 도움 없이 사물 스스로 정보를 주고받아 상황에 걸맞게 작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 AI 스피커 관련주의 전망

이미 아마존, 구글, 애플 등 글로벌 IT 기업이 이 시장에 뛰어들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SK텔레콤, KT, 네이버, 삼성전자 등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인공지능 반도체에 1조 원 투자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반응형


6. AI 관련 종목

관련종목으로는 솔트룩스, 오픈베이스, 알에프세미, 인포마크, KT 등이 있다.


솔트룩스(304100)
4대 제품(AI, Big Data, Cloud Service, GraphDB)을 기반으로 고객의 인공지능, 빅데이터 활용 니즈에 최적화된 총 3개 분야의 사업(심층 질의응답 기반, 대화형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반 증강 분석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서비스)을 하고 있다.


오픈베이스(049480)
각종 컴퓨터 및 관련 기자재의 제조 및 판매업, 통신 소프트웨어 개발업 등을 영위한다. 주력 사업으로는 스위치 제품군을 생산하는 네트워킹 솔루션, 스토리지 솔루션 사업 등이 있다.
인공지능 데이터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및 예측 플랫폼 개발하였다. 삼성SDS 인수합병 소재가 있다.


알에프세미(096610)
반도체 기술을 이용해 Drive IC를 이용한 LED 조명의 제조 및 판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ECM Chip, TVS Diode, Drive IC, LED 조명 등이 있다.
삼성전자 1차 벤더로서 인공지능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인식용 마이크로폰(ECM) 칩을 공급 중이다.


인포마크(175140)
스마트 디바이스(단말) 전문업체이다. 2017년 국내 최대 포털사 NAVER를 통해 AI 스피커를 출시하고 국내외 공급계약을 체결해 사업 규모를 확대 중이다. 신사업으로 AI를 활용한 시니어 헬스케어 및 어린이 영어 스피킹 플랫폼 개발을 진행 중이다. 또한 5G 상용화에 따라 정부 및 통신사, 글로벌 대기업과 협력하여 5G 통신 단말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KT(030200)
국내 대표적인 종합통신사업자이다. 유무선 전화, 초고속 인터넷 등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IPTV(인터넷 TV), VoIP(인터넷전화) 등의 융합서비스(통신/방송, 유/무선)를 영위하고 있다. AI 스피커 '기가 지니'를 출시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