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
용도폐지 없는 한 불융통물에 해당(대법원 1965.11.23.선고)
국공유행정재산은 그 용도를 폐지하여 보통재산화하지 아니하면 불융통물로서 양도의 대상이 될 수 없다 할 것인 바(1964.1.1.부터 시행한 지방재정법 제56조, 제57조, 동법시행령 제59조, 제61조에 의하여 이 점을 입법적으로 분명히 하였으나 동법의 시행으로 인하여 비로소 자치단체 소유의 행정재산이 불융통물로 되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피고 군이 본건 토지가 등기부상 잡종지로 되어 있어 태안면사무소 및 공회당 부지인 사실을 모르고 도지사의 승인을 얻어 공매입찰에 붙였다고 하여서 그 용도를 폐지, 보통 재산화하여 매각하였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사권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본 건 매매계약은 무효라 할 것이다.
반응형
'세외수입 > 세외수입 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목이 사용료 또는 점용료라 불리던 사용료에 해당 (0) | 2020.12.29 |
---|---|
국유 일반재산의 대부료 등의 지급을 민사소송의 방법으로 구할 수 있는지 (0) | 2020.12.28 |
도립공원 내 군유림을 매각할 수 있는지 여부 (0) | 2020.12.18 |
잡종재산 시효취득 해당 여부 (0) | 2020.12.17 |
변상금은 상속인에게 승계 (0) | 2020.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