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료 및 수수료의 경우 징수 규정 준용 법은?
[질의요지]
사용료·수수료의 체납징수에 관한 사항을 「지방자치법」에서는 '지방세 체납처분의 예에 따른다'하고, 「지방자치단체 회계관리 훈령」에서는 '지방행정제재·부과금법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고 되어 있는데 어느 규정에 따라야 하는지
[답변]
▷ 각 사용료·수수료의 부과·징수와 관련된 개별법령에 따른 규정에 따라야 하며, 징수 관련 규정이 없을 경우 지방자치법에서 규정한 지방세 준용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됩니다.
▷「지방자치법」과 「지방자치단체 회계관리 훈령」에서 징수 준용법이 다르다 할지라도 '상위법 우선의 원칙'에 따라 지방자치법 규정을 적용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세외수입 > 세외수입 업무 해설(Q&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액 징수면제 : 부과금액(2천원 미만)의 납부 여부 (0) | 2022.09.09 |
---|---|
이미 부과한 자료의 회계과목명 변경 가능 여부 (0) | 2022.08.31 |
지방세외수입 부과·징수 시 납부의무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수집·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 (0) | 2022.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