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기법 통칙 47-1)
무한책임사원의 책임
무한책임사원의 책임은 퇴사등기 후 2년 또는 해산등기 후 5년이 경과하면 소멸(「상법」제225조 및 제267조)하므로 제2차 납세의무를 지우기 위해서는 이 기간 내에 제2차 납세의무자에 대한 납부통지를 하여야 한다. 단, 퇴사등기 또는 해산등기를 하기 전에 무한책임사원이 소속된 법인에게 지방세 납세의무가 이미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 한한다.
반응형
'세외수입 > 세외수입 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납세고지서에 의한 독촉절차 없이 행한 압류처분도 취소될 때까지 시효중단의 효력이 있다 (0) | 2020.04.24 |
---|---|
과점주주의 요건 (0) | 2020.04.23 |
청산인이 2인 이상인 경우 (0) | 2020.04.22 |
청산인의 정의 (0) | 2020.04.22 |
청산인 등의 제2차 납세의무자의 한계 (0) | 2020.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