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디플레이션, 랜덤워크 가설, 랜섬웨어 - 미국금융 관련용어

by 런조이 2022. 12. 30.
반응형

디플레이션(deflation)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이다. 한 국가의 경제에서 재화와 용역의 일반적이고 지속적인 물가의 하락을 말한다.  

인플레이션의 반대 개념이다. 즉 경제상 거래에서 사회적으로 필요로 되는 양에 못 미치게 통화가 수축하여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어 물가가 하락하는 상태이다. 하지만 이러한 디플레이션은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일은 매우 드물다.

 

반응형

 

디플레이션이 일어나게 되면 기업의 도산이 증가하여 전반적인 기업활동이 정체되고, 생산의 축소가 이어져 실업자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근로자의 임금 수준이 줄어들게 되어 봉급자의 생활이 힘들어진다. 하지만 대기업의 입장에서는 중소기업의 경영악화에 따라 흡수 합병이 증가하게 되어 독점적 지배가 강화되기도 한다. 

 

 

 

 

랜덤워크 가설(Random Walk Hypothesis)

시장을 지속적으로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효율적 시장가설의 대중적인 명칭이다.

주가의 변화는 과거의 변화나 패턴에 제약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움직인다는 가설이다. 즉, 오늘의 주가는 모든 주가의 변동요인을 이미 반여하여 형성된 것이고, 내일의 주가는 내일의 변동요인이 반영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술적 분석 방법에 의한 주가 예측 기법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개념인 것이기에 주가 예측이 에초에 불가능하다는 이론이다.   

 

 

 

랜섬웨어(ransomware)

랜섬웨어라는 말은 랜섬(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서 랜섬(ransom)은 몸값을 의미한다.

이러한 랜섬웨어(ransomware)는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침투하는 소프트웨어로 일반적으로 컴퓨터 주인의 허가 없이 파일을 암호화한다. 일종의 멀웨어 또는 악성 소프트웨어이다. 

 

랜섬웨어(ransomware)를 풀어주는 대가로 랜섬웨어 개발자는 비트코인이나 기타 추적하기 어려운 송금 수단을 통해 돈(ransom)을 지불하라고 요구한다.

 

랜섬웨어의 종류는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인 '암호화 랜섬웨어' 또는 '크립토 랜섬웨어'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공격한다. 

또다른 종류인 '락커 랜섬웨어'는 피해자의 전체 디바이스를 잠근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