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막상식

나르시시즘(Narcissism) 뜻, 의미, 유래, 어원

by 런조이 2024. 4. 10.

나르시시즘은 자기 자신에 대한 지나친 사랑 또는 숭배를 의미하는 심리적 현상이다. 그리스 신화의 나르키소스(Narcissus)가 자신의 모습에 반해 연못에 빠져 죽는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나르시시즘(Narcissism) 뜻, 의미, 유래, 어원
나르시시즘(Narcissism) 뜻, 의미, 유래, 어원

 

 

나르시시즘(Narcissism) 뜻, 의미

나르시시즘(Narcissism)이란 개인이 자신에게 지나치게 집착하고 자기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나르시시즘(Narcissism)을 정신분석학에서는 '자기애(自己愛)'라고 하는데, 자기 자신에게 애착하는 일 또는 자신이 리비도(Libido), 즉 성적 에너지의 대상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현대 심리학에서 나르시시즘은 자기애적 성격 장애의 한 형태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는 개인이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지니고,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부족하며, 타인의 인정과 존경을 과도하게 추구하는 경향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나르시시즘은 건강한 자기애와 병리적 자기애로 나뉠 수 있다. 건강한 자기애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자신감을 의미하는 반면, 병리적 자기애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과도한 자기 중심성을 가리킨다. 병리적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욕구와 성취를 타인의 것보다 우선시하며, 자신의 행동이나 결정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나르시시즘의 주요 특징으로는 과대망상, 타인에 대한 공감 부족, 타인을 이용하는 경향, 자기 자신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집착, 타인의 인정과 존경에 대한 강한 욕구 등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개인의 사회적, 직업적, 개인적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나르시시즘을 치료하기 위해 대인 관계 기술 향상, 자기 인식 증진,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 개발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제시한다.  

 

반응형

 

나르시시즘(Narcissism) 유래, 어원

나르시시즘(Narcissism)은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나르키소스에서 유래했다. 나르키소스는 자신의 모습에 반하여 자신만을 사랑하게 되는 이야기로 유명하다. 나르키소스(Narcissus)는 아름다움과 자신의 우아함에 반해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연못에 뛰어들었다.

 

그런데 자신의 모습을 보고도 너무나 아름답다고 생각한 나머지 연못에서 떠나지 않았고,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하여 익사한 뒤 수선화(水仙花)가 된 그리스신화 속의 미소년 나르키소스 이야기와 연관 지어 독일의 정신과 의사 폴 네케(P. Neke)가 처음 사용한 말이다.

 

그 후 이 말이 널리 알려진 것은 지그문트 프로이드가 정신분석학 용어로 본격 도입하면서부터이다. 그는 나르시시즘이란 자기의 육체, 자기의 정신적 특징이 리비도의 대상이 되는 것, 즉 자기 자신에게 리비도가 집중되어 있어 자신이 관심의 초점이 되는 상태라고 정의했다. 

 

프로이드의 주장에 따르면 유아기에는 누구나 리비도가 자기 자신에게 쏠려 있으며, 이를 1차적 나르시시즘이라고 한다. 그러나 자라면서 리비도는 자기 자신으로부터 떠나 외부의 대상, 즉 어머니라 이성으로 향하는데 이것이 대상애(對象愛)이다.

 

하지만 대상과의 애정생활이 위기에 직면하여 상대를 사랑할 수 없게 되면 유아기처럼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것이 2차적 나르시시즘이며, 프로이드는 이 상태를 정신분열병 또는 편집병의 극단적인 예라고 진단하였다. 

오늘날 나르시시즘은 정신분석학 용어뿐만 아니라 사회현상을 규명하고 진단하는 용어로까지 확대 사용되고 있다. 

 

 

 

 

리비도(libido) 뜻, 의미, 유래, 어원

리비도(libido)는 성욕이나 성적 욕구를 뜻하는 심리학 용어이다. 보통 생물학적으로 성적 충동이나 욕구를 의미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사람이 내재적으로 갖고 있는 정신적인 에너지를 가리키며,

learnjo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