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chess)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8줄씩 64칸으로 격자로 배열된 보드 게임이다. 이 게임은 두 명의 선수가 기물들을 규칙에 따라 움직여 싸우는 것으로, 전략적인 사고력과 논리력을 요구하는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인 장기류 게임 중 하나다.
체스(chess) 뜻, 의미
체스(chess)는 전략과 전술을 사용하는 2인용 보드 게임으로, 체스판은 가로 세로 8칸의 흑백이 교차하는 격자무늬 판으로 구성되며, 각 플레이어는 흑백의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벌이는 게임이다. 겉보기에는 간단해 보이지만 체스판은 목숨을 걸고 싸우는 피비린내 나는 전쟁터이다. 왕을 지키는 것은 곧 자신의 왕국을 지키는 것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게임의 목표는 상대방의 왕을 체크메이트(외통수)로 놓는 것이다. 이는 상대방의 왕이 공격받고 있으며 다음 턴에 어떤 움직임으로도 공격을 피할 수 없는 상태, 즉 외통수를 말한다.
체스의 기물에는 왕, 여왕, 룩, 나이트, 비숍, 폰이 있다. 각 기물은 특정한 방식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룩은 가로나 세로로만 움직일 수 있고, 나이트는 'L' 모양으로만 이동한다. 체스 게임은 전략적 사고, 예측 능력, 그리고 때로는 상대방을 속이는 기술을 요구한다.
체스의 역사는 6세기 인도에서 시작되어 지중해를 거쳐 유럽으로 퍼져 나갔다고 알려져 있다. 게임의 규칙과 기물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였으며, 현재 사용되는 체스 규칙은 19세기 초에 확립되었다. 이러한 체스의 규칙은 국제 체스 연맹(FIDE)이 게재한 '핸드북'에 정확히 기재되어 있으며, 2023년 최근에 개정되었다.
체스는 두뇌 운동뿐만 아니라 교육적 가치도 높다.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체스는 국제적인 경기로,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대회가 개최된다. 국제 체스 연맹(FIDE)은 국제 체스 대회를 주관하며,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비롯한 여러 타이틀을 수여한다.
국어사전은 '체스(chess)'를 '장기와 유사한 서양 놀이. 세로 8열, 가로 8열로 구획을 지은 반상에서, 백색과 흑색으로 만든 16개씩의 말을 서로 놀려 상대편의 왕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편이 이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체스(chess) 유래, 어원
체스(chess)의 유래와 어원은 그 시작을 6세기 인도의 게임, '차투랑가(Chaturanga)'로 거슬러 올라간다. '차투랑가'는 산스크리트어로 ‘네 개의 부분’을 의미하는데, 이는 당시의 군대를 나타내는 기물인 코끼리, 마차, 기마병, 보병을 반영한다.
이 게임은 중세를 거쳐 아랍 세계로 전파되었으며, '샤트란지(Shatranj)'로 알려지게 되었다. 샤트란지는 7세기경 중동에 도입된 후, 유럽에 전파되어 점차 현대 체스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게임의 구조와 규칙은 여러 세기에 걸쳐 발전했으며, 특히 15세기에 이르러 큰 변화가 있었다. 이 시기에 여왕의 움직임이 현재와 같이 강력해졌고, 비숍의 이동 방식도 변화했다. 또한, 폰의 초기 두 칸 이동 같은 규칙이 도입되었다.
'체스'라는 단어는 아랍어 '샤' 또는 '샤흐(Shah)'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샤'는 '왕'을 의미하며, 체크메이트(Checkmate)는 '샤 맛(Shah Mat)'에서 유래된 것으로, '왕이 죽었다'는 뜻이다. 이 용어는 게임이 유럽으로 전파되면서 변형되어, 중세 라틴어에서 'scaccus'가 되었고, 이후 영어로 'chess'가 되었다.
유럽에서 체스는 중세 귀족 사회의 중요한 일부가 되었으며, 전략적 사고와 군사 전술의 훈련 도구로 여겨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스는 사회적 계층을 초월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오늘날에는 전 세계적으로 즐기는 지적인 게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토막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힐리즘(Nihilism) 뜻, 의미, 유래, 어원 (0) | 2024.04.11 |
---|---|
나르시시즘(Narcissism) 뜻, 의미, 유래, 어원 (0) | 2024.04.10 |
메시아(messiah) 뜻, 의미, 유래, 어원 (0) | 2024.04.08 |
돔(dome) 뜻, 의미, 유래, 어원 (0) | 2024.04.07 |
헤게모니(hegemony) 뜻, 의미, 유래, 어원 (2) | 2024.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