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막상식

메시아(messiah) 뜻, 의미, 유래, 어원

by 런조이 2024. 4. 8.

메시아(messiah)는 히브리어로 '기름 부음을 받은 자'라는 뜻으로,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구세주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특정 분야나 사회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탁월한 지도자나 개혁자를 비유적으로 메시아라고 부르기도 한다

 

 

 

 

메시아(messiah) 뜻, 의미, 유래, 어원
메시아(messiah) 뜻, 의미, 유래, 어원
 

 

메시아(messiah) 뜻, 의미 

메시아는 원래 히브리어 '마시아흐(Mashiach)'에서 유래한 단어로, '기름 부음을 받은 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용어는 구약성서에서 특별한 임무를 부여받고 하나님에 의해 선택된 왕이나 제사장에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메시아는 특히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더욱 깊은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유대교에서 메시아는 이스라엘의 민족을 구원하고 세상에 정의와 평화를 가져올 이상적인 왕으로 기대되는 인물이다. 유대인들은 메시아가 오면 모든 민족이 하나님의 법을 따르게 되고, 전쟁과 고통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이 올 것이라 믿고 있다.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메시아, 즉 구세주로 인정한다. 기독교는 예수가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인류의 죄를 속죄하고 구원의 길을 열었다고 가르친다. 이로 인해 메시아는 단순히 유대인들만의 구세주가 아니라 전 인류를 위한 구세주로 여겨진다.

 

이처럼 메시아는 종교적 맥락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니며, 인류의 구원과 미래에 대한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다양한 종교와 문화에서 메시아에 대한 해석과 기대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는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인간의 갈망과 신앙을 반영하는 개념이다. 

 

구세주(救世主)를 한자 뜻 그래도 풀이하면 '세상을 구하는 주인'이라는 뜻이다. 국어사전은 '구세주'를 '어려움이나 고통에서 구해 주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반면 구세주와 같은 말인 ' 메시아(messiah)'의 국어사전 정의는 '구약 성경에서 초인간적 예지를 가지고 이스라엘을 통치하는 왕. 신약 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이르는 말'이라고 되어있다. 

 

 

반응형

메시아(messiah) 유래, 어원

메시아(Messiah)의 유래와 어원을 상세히 살펴보면, 이 단어는 히브리어 '마시아흐(Mashiach)'에서 기원한다. '마시아흐'는 '기름을 발라 바르다', '기름 부음을 받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고대 유대 사회에서 특별한 임무를 부여받은 사람들, 특히 왕이나 제사장이 하나님으로부터 선택받았음을 상징하는 의식에서 유래한다.

 

히브리어로 구세주가 메시아(messiah)라면, 헬라어로 구세주는 크리스토스(Christos)이다. 여기서 영어 크리스(Christ)가 생겨났고, 그리스도는 우리가 크리스토스를 헬라어 원음에 가장 가깝게 음역(音譯)한 것이다. 기독교 역사에서는 성육신(incarnation)으로 나사렛에서 태어나 고난을 받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예수를 그리스도(메시아, 구세주, 크리스토스)로 보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합쳐 '예수 그리스도'라는 말을 쓰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메시아는 어원적으로는 기름 부음을 받은 사람이라는 뜻에서 출발하여, 유대교와 기독교에서는 인류의 구원과 미래의 희망을 상징하는 중요한 종교적 인물로 발전하였다.

 

 

 

헤게모니(hegemony) 뜻, 의미, 유래, 어원

헤게모니(hegemony)는 특정 그룹이 다른 그룹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하는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단순히 폭력이나 강압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이념적, 문화적 영향력을

learnjo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