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막상식

리비도(libido) 뜻, 의미, 유래, 어원

by 런조이 2024. 3. 6.
반응형

 

리비도(libido)는 성욕이나 성적 욕구를 뜻하는 심리학 용어이다. 보통 생물학적으로 성적 충동이나 욕구를 의미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사람이 내재적으로 갖고 있는 정신적인 에너지를 가리키며, 광범위한 의미에서는 개인의 에너지나 창의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리비도(libido) 뜻, 의미, 유래, 어원
리비도(libido) 뜻, 의미, 유래, 어원

 

 

 

리비도(libido) 뜻, 의미

 

리비도(libido)는 라틴어로 '무엇에 대한 갈망, 욕망, 민감함'을 의미한다. 정신분석학적인 용어로 일반적으로는 개인이 개인적 발달이나 개성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자생적인 정신적 에너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리비도는 심리학에서 사람이 내재적으로 갖고 있는 정신적인 에너지를 가리킨다.

 

이 말을 인간의 성적 에너지와 관련하여 심리학 용어로 처음 사용한 사람은 지그문트 프로이드(Sigmund Freud)이다. 그는 인간은 사랑에 대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에 대한 욕망과 연민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성적 충동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그러면서 그는 무의식적인 성적 충동과 삶의 역동성을 지적하기 위해 리비도란 말을 사용하였다. 

 

프로이트는 리비도를 성적 에너지와 동일시했는데, 이는 인간의 모든 행동의 숨은 동기가 되는 본능적 활동력과 욕망을 의미한다. 인간의 성욕이나 욕망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에너지의 흐름을 의미하기도 한다.

 

프로이드의 후기 심리이론에서 리비도는 모든 애정적 경향들의 중심에 놓인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이 성적 충동의 애정적 경향은 사랑의 다양한 형태, 즉 자기애, 우정, 가족애, 민족애 등으로 발전하며, 리비도는 측정될 수는 없지만 양적 방식으로 생각될 수는 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칼 융(Carl Jung)은 이 리비도를 좀 더 확장하여 역동성을 갖는  '인간 생명 에너지의 근원'으로 해석하였다. 리비도 장애는 정신적 요인과 육체적 요인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반응형

리비도(libido) 유래, 어원

리비도(libido)는 라틴어로 '욕망, 열망, 갈망'을 뜻하며, libere라는 동사에서 파생되었다. libere는 '마음에 들다, 기쁘게 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크라프트-에빙(Krafft-Ebing)의 1892년 "Psychopathia Sexualis"의 영문판에서 처음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되었고, 1909년 프로이드(Freud)의 '히스테리에 관한 논문선'을 번역한 A.A. 브릴이 사용하면서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후 심리학에서는 리비도를 '심리적인 욕구나 에너지로, 주로 성적 본능과 관련이 있다'라고 정의하게 되었다.

 

프로이트는 리비도를 정신의 가장 깊은 부분인 이드(id)에서 나오는 본능적인 에너지나 힘으로 정의했다. 이드는 성적 본능이나 생존 본능과 같은 원시적인 욕구를 담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가 초자아(superego)와 자아(ego)에 의해 억제되거나 조절되지 않으면 신경증(neurosis)이나 정신병(psychosis)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목표는 이드의 충동을 의식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하여 자기 방어(mechanism of defense)에 의존하지 않게 하는 것이었다.

 

융은 프로이트와 다르게 리비도를 좀 더 넓은 의미로 해석했다. 융은 리비도를 성적 에너지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생명력이나 창조력을 포함하는 역동적인 에너지로 보았다. 융은 리비도가 개인의 발달과 개성화(personalization)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리비도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리비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는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호르몬 수준, 피임약이나 항우울제와 같은 약물의 부작용, 스트레스나 우울과 같은 정신적 상태, 배우자와의 친밀감이나 매력도, 월경 주기 등이 있다.

 

 

 

아이러니(irony) 뜻, 종류, 유래, 어원

아이러니(irony)는 예상 밖의 결과가 빚은 모순이나 부조화를 의미하는 문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말과 행동이 서로 모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아이러니는 의도적

learnjo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