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해석)
가산금 규정 없을 때는 가산금 적용불가
(법제처 행법11011-187, 1998.6.18.).
체납된 세외수입금은 그 징수절차에서 “지방세 체납처분의 예” 또는 “지방세 징수의 예”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경우 예컨대 개발부담금의 예와 같이 개별법령에서 가산금을 부과할 수 있는 규정이 있을 때에 한하여 가산금을 부과할 수 있을 것이지만, 법문에 가산금 규정이 없는 때는 적용할 수 없다.
※ 연체료는 납부기한이 지나면 본래의 납부금액에 가산된다는 점에서 가산금과 비슷하나, 월 단위로 가산되는 가산금에 비해 연체료는 일 단위로 가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연체료(「공유재산법 시행령」제80조)는 국유·공유재산의 임대료·사용료, 변상금 및 매각수입을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하였을 때는 일자별로 12%~15%를 가산하여 징수할 수 있다.
반응형
'세외수입 > 세외수입 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행강제금 소멸시효 (0) | 2020.05.04 |
---|---|
청소년보호법상 과징금 미납자에게 가산금 부과 여부 (0) | 2020.05.04 |
독촉없이 행한 압류처분의 효력 (0) | 2020.05.03 |
독촉없이 한 가산금 및 중가산금 효력 (0) | 2020.05.02 |
부동산압류 처분 취소 (0) | 2020.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