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질서위반행위자가 이민을 간 경우 과태료 부과가 가능한지 여부
[질의요지]
■ 만약 질서위반행위자가 이민을 간 경우,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지 여부
[회신]
● 이민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의 문제는 첫째, 이민자는 「국적법」 제15조에 따라 외
국 국적을 취득하여 국적을 상실하지 않은 이상 여전히 대한민국 국민의 지위를 가
진다는 점, 둘째, 과태료는 질서위반행위에 대한 제재로서 행정질서 벌이므로 당사
자가 국적을 변경했다고 하더라도 법적인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셋
째, 질서법 제2조제3호가 과태료의 부과대상인 "당사자"를 질서위반행위를 한 자연
인 또는 법인으로 정의하여, 내 · 외국인을 구별하지 않고 있어 국적변경이 과태료
를 부과할 수 없는 근거가 될 수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과태료는 이민자에 대해
서도 부과될 수 있을 것입니다.
● 다만 이민자의 경우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이하 "질서법") 제16조의 사전통지와
제17조의 과태료부과고지를 실제로 어떻게 통지할 것인지가 주요한 문제가 될 것
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이민출국으로 인하여 주소지가 말소되어 송달이 불가능한
경우이므로, 「행정절차법」 제14조제4항에 의한 공고의 방법을 통해 공시송달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고일부터 14일이 경과한 때에 그 효력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만약 적법한 사전통지가 없었다면 제17조의 과태료 부과고지도 위법하게 되므로,
제16조의 사전통지와 제17조의 통지는 각각 별도로 공시송달되어야 할 것입니다.
'세외수입 > 질서위반행위규제법 해석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4. 과태료 체납으로 압류를 한 후에 체납자가 사망한 경우 그 압류의 효력 (0) | 2017.09.11 |
---|---|
53. 사망자 명의의 차량이 운행되다가 질서위반행위가 발생한 경우 (0) | 2017.09.08 |
51. 이미 사망한 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지 (0) | 2017.09.06 |
50. 납부의무자 사망 후 과태료 납부의무자 (0) | 2017.09.06 |
49.「질서위반행위규제법」제24조의2 적용과 관련한 법적 문제 (0) | 2017.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