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막상식

컴퓨터(computer)의 의미, 유래, 발전과정

by 런조이 2023. 11. 16.
반응형

 

 

샹들리에(chandelier)의 의미, 유래

샹들리에(chandelier)의 의미, 유래 샹들리에는 본래는 초를 세우는 기구 즉, 촛대라는 뜻이었으나 지금은 장식효과를 주목적으로 한 조명기구의 명칭이다. 주로 크리스털, 유리, 금속 등으로 만들

learnjoy.tistory.com

 

컴퓨터(computer)의 의미, 유래, 발전과정

컴퓨터는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자적 형태로 저장하고, 수치를 빠르게 계산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정확히 분석하고 처리하는 전자기기이다. 이러한 컴퓨터의 의미와 유래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컴퓨터(computer)의 의미, 유래, 발전과정
컴퓨터(computer)의 의미, 유래, 발전과정

 

 

컴퓨터(computer)의 의미

컴퓨터는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자적 형태로 저장하고, 수치를 빠르게 계산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정확히 분석하고 처리하는 전자기기이다. 컴퓨터는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자적 형태로 저장하고, 수치를 빠르게 계산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정확히 분석하고 처리하는 전자기기이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구성되며 소프트웨어는 동작을 제어하고, 하드웨어는 작업을 수행한다. 컴퓨터는 연산과 기억 용량이 뛰어나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명령 순서인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여 사람이 읽을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는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ADPS (Automatic Data Processing System)이라고도 불린다. 컴퓨터의 특징으로는 대용량, 다용성, 호환성, 정확성, 신뢰성을 들 수 있다. 컴퓨터의 종류로는 데스크탑 컴퓨터 , 노트북 컴퓨터 , 서버 컴퓨터 ,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이 있다. 

 

컴퓨터는 초기에는 기업, 기관이나 일부 전문가들로 사용이 제한되었지만, 개인용 컴퓨터의 발전으로 지금은 대중화되었다. 또한, 현재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컴퓨터가 있다. 컴퓨터는 우리 삶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래에도 계속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어사전은 '컴퓨터(computer)'를 '전자 회로를 이용한 고속의 자동 계산기, 숫자 계산, 자동 제어, 데이터 처리, 사무 관리, 언어나 영상 정보 처리 따위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라고 설명하면서 '일렉트로닉컴퓨터' 또는 '전자계산기'로 순화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 문교부에서 진행한 교육용 PC사업에 IBM 호환 PC가 채택되면서 각 학교에 컴퓨터실이 만들어졌다. 이후 1999년 '국민 PC사업'을 진행해 가격이 낮춰진 PC가 우체국을 통해 공급되었고, 차츰 가정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참고로, 북한에서는 컴퓨터(computer)를 '전뇌(電腦)틀'이라고 부른다. 

 

 

 

컴퓨터(computer)의 유래

컴퓨터(computer)라는 말은 '계산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컴퓨타레(Computare)에서 유래한 영어이다. 컴퓨터(computer)의 단어 구조를 보면 com(함께) + pute(계산하다) + er(행위자를 의미하는 접미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합치면 '계산하는 사람' 또는 '계산하는 기계'라는 뜻이 된다. 

 

근현대에 들어 다양한 수학적 기법들이 기초물리학, 천체물리학, 우주학, 항공학 등에 도입이 되면서 많은 양의 수학 계산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러자 과학자들은 막대한 분량의 수학적 계산을 감당하기 위해 아예 계산전문인력을 고용하게 되었고, 그들을 '휴먼 컴퓨테이션스(human Computations - 계산하는 사람)'이라 불렀다. 

 

그러다 차츰 휴먼 컴퓨테이션스 대신 디지털 엘렉트릭 컴퓨터(Digital electronic computer)가 인간 계산원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컴퓨터란 말이 보편화되었다. 

 

컴퓨터의 모든 기능들은 철저한 계산의 결과로 작동된다. 미국의 수학자 존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은 처음으로 컴퓨터 안에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이를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람이다. 이후 그의 주장에 따라 현대의 모든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반도체를 이용한 최초의 컴퓨터는 1937년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에서 만든 '아타나소프 베리 컴퓨터(Atanasoff -Berry Computer)'이다. 이후 영국에서 콜로서스(Colossus)를 개발했는데, 이는 최초로 개발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디지털 컴퓨터이며,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영국이 독일의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그 후, 미국의 IBM사는 컴퓨터 대중화에 큰 관심을 가졌다. 그래서 인텔로부터 CPU를 납품받고, 마이크로스프트로부터는 DOS와 BASIC을 납품받아 개인용 컴퓨터 PC를 생산했는데 이것이 컴퓨터 대중화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다.

 

IBM사의 PC는 이후 컴퓨터 산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IBM사의 PC는 표준화된 규격을 제공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다른 기업들도 쉽게 PC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컴퓨터 산업의 발전에 큰 혁명을 일으켰다.

이후로도 컴퓨터는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많은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

컴퓨터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계산기의 등장

컴퓨터의 유래는 계산기의 등장에서 시작된다. 17세기경 프랑스의 수학자 파스칼은 '파스칼의 계산기'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최초의 디지털 계산기로,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었다.

 

2. 전자식 계산기의 등장

19세기 말에는 전자식 계산기가 등장하였다. 이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하는 기계로, 파스칼의 계산기보다 더 빠르고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었다.

 

3. 컴퓨터의 등장

20세기 초반에는 전자 진공관을 사용한 컴퓨터가 등장하였고, 이후에는 트랜지스터, 집적회로 등의 기술이 개발되면서 컴퓨터의 크기는 작아지고 성능은 향상되었다.

 

4. 개인용 컴퓨터의 등장

개인용 컴퓨터(PC)는 1970년대 이후 기술의 발전과 진보에 따라 컴퓨터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를 제작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5. 모바일 컴퓨터의 등장

모바일 컴퓨터는 최근의 기술 발전으로 인한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의 한 종류이다. 휴대성이 높은 컴퓨터로,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이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