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비대칭성]
주식시장에서 개미(개인투자자)가 대박을 치는 경우는 하늘에 별따기 수준이다.
흔히들 주식시장에서 쪽박찬 개미는 많이 봤어도, 대박을 친 개미는 손에 꼽을 정도이다.
개미들도 나름대로 획득한 기업 정보를 토대로 투자하지만, 주변에서 주식으로 큰 돈을 번 개미를 본적은 거의 드물다. 그렇다면, 주식시장에서 유독 개미들이 쪽박을 차는 이유가 뭘까?
아니, 굳이 쪽박이 아니라도 기관투자가에 비해 투자수익률이 낮은 이유가 뭘까?
그것은 바로'정보의 비대칭성'의 문제이다.
정보의 비대칭성은 사람마다 어떤사항에 대하여 알고 있는 정보가 똑같지 않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정보습득의 상대적 불균형성이라고 말할수 있다.
여러 경로를 통하여 다향하게 정보를 확보한 기관투자가에 비해 개미들은 정보가 상대적으로 너무나 빈곤한 수준이기에 우월한 정보를 가진 기관투자가들이 상대적으로 약자인 개인투자가들을 속이거나 거래를 자기들에게 유리하게 만들기 때문에 개미들의 승산이 낮은 것이고 심지어는 쪽박을 차는 것이다.
흔히, 증권가에서는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아라"는 이야기가 있다. 기관투자가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정보를 신속히 확보할 수 있는 반면 개인투자가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대다수 개인 투자가들은 신문과 방송 등 언론매체에 보도된 기사를 보고 해당 주식을 사는데 그때는 이미 늦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기업에 긍정적인 뉴스나 부정적인 뉴스는 모두 주가에 반영된 뒤에 나오는 경향이 있다. 결국 개미투자가가 획득한 정보는 이미 빛바랜 정보일 수 밖에 없다. 최소한 기관투자가의 입장에서는 그렇다.
그러니 한발 앞선 정보를 가진 기관투자가들이 게임에서 승리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정보의 비대칭성
거래의 쌍방 중 어는 한쪽이 다른 쪽보다 우월한 정보를 갖고 있는 경우를 말하는데, 정보의 비대칭성이 클 경우 우월한 정보를 가진 쪽이 자신의 이익을 목적으로 거래 상대방을 속이거나 유리한 계약조건을 만들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관련 필수용어 (0) | 2022.11.11 |
---|---|
전기차 종류 (0) | 2021.10.26 |
케인즈의 주식투자 원칙(6) (0) | 2021.08.29 |
한정판 - 희소성 심리 자극 히트 상품 (0) | 2017.06.27 |
베블런 효과 - 비쌀수록 잘 팔리는 (0) | 2017.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