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바이오 CMO 관련주, 위탁 대량생산 기업(바이오 분야)

by 런조이 2022. 3. 26.
반응형

CMO 관련주, 위탁 대량생산 기업(바이오 분야)

1. CMO의 의미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의 약어로 바이오의약품을 위탁생산하는, 의약품 전문 생산사업이다.

전자업계의 OEM이나 반도체의 파운드리와 같은 개념이다.

 

제약사업자들은 CMO 기업을 통하여 의약품 생산을 위탁하여 시설품질관리와 비용절감등에 대한 이점을 얻고, 이를 R&D(연구개발)와 공급망 확장등에 전념할 수 있다.

 

바이오 CMO는 품목이 바이오의약품이기 때문에 생산 난이도가 꽤 있으며, 원료의약품, 의약품 중간체 개발 및 제조, 완제의약품 제조 및 포장 등으로 구분한다.

 

또한, 바이오 CMO는 대규모 수주가 사업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장기 생산 물량을 조기에 확보하는 게 핵심이다.

이럼 점 때문에 CMO 업체들은 CDMO로 전환하는 추세 이기도 하다.

 

 

2. CMO 관련 단어

CDO

위탁생산 방법 중 하나로 DNA를 받아 세포주를 만든 후 생산한다.

 

CDMO

항체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과 위탁 개발(CDO)을 합친 합성어로 위탁생산 방법 중 하나다.

CMO는 세포주를 받아서 생산하는 반면 CDMO는 DNA를 받아서 세포주를 만든 후 생산까지 한다.

의약품 제조, 후보물질 도출 · 개발 등 위탁 개발 서비스를 제공한다.

 

 

3. CMO 관련주의 특성

보통 대형 CMO 기업은 대규모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다른 사업을 함께하는 경우가 많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하는 게 그 예이다.

 

4. CMO 관련종목

관련 종목으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넥스, 에스티팜, SK케미칼 등이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CMO 기업으로 경쟁사들과는 달리 항체의약품 위탁생산시설 증설에 따른 COVID-19 치료제/백신 위탁생산 가능성 높음.

2018년 cGMP 생산을 시작하여 2019년 말 기준 36.2만 리터 생산설비를 가동 중이며, 이 시장에서 선발업체를 추월해 생산설비 기준 세계 1위 CMO로 도약하였다.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아키젠바이오텍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 중이다.


바이넥스(053030)

사업영역은 케미컬 의약품 제조 및 판매 사업부문과 바이오의약품의 위탁생산 및 개발 사업부문(CDMO)으로 구분된다.

국내 대부분의 제약기업 및 바이오기업이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 COVID-19 백신 개발에 가장 앞선 제넥신의 DNA 백신 'GX-19' 공동 개발 진행 중이다. 상업화에 따른 위탁생산 수혜 전망이 예상된다.


에스티팜(237690)

원료의약품 CDMO 사업 분야를 확장하여, 신규사업 영역으로서 새로운 치료제 분야인 핵산치료제로 진출하였다. 현재 아시아 1위, 글로벌 3위 내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제조 CDMO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RNAi 치료제 시장 개화에 따른 수요 증가로 글로벌 Top 3 업체들의 동반 수혜가 예상된다.


 SK케미칼(285130)

SK케미칼의 자회사인 SK바이오사이언스가 아스트라제네카와 코로나 백신에 대해 CMO 계약을 체결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