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송달 요건(대판92누6136, 1993.1.26.)
국세기본법 제11조제1항제3호, 동법시행령 제7조의 규정에서 말하는 공시송달을 할 수 있는 경우로서
“주소 또는 영업소가 분명하지 아니한 때”라 함은 주민등록표, 법인등기부 등에 의하여도 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를 뜻
하는 것이고,
법인에 대한 송달은 본점 소재지에서 대표이사가 이를 수령할 수 있도록 함이 원칙이나
그와 같은 송달이 불능인 경우에는 법인등기부 등을 조사하여 본점소재지의 이전여부 및 대표이사의 변경여부나 대표이
사의 법인등기부상의 소재지 등을 확인하여 그에게 송달하였는데도 그 송달이 불능인 경우에 비로소 공시송달을 할 수
있음.
반응형
'세외수입 > 세외수입 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인에 대한 과태료 부과 가능 여부 (0) | 2021.01.28 |
---|---|
법인의 합병, 합병의 효력 발생 시기 (0) | 2021.01.28 |
고지서송달 효력 (0) | 2021.01.22 |
주소 또는 영업소가 분명하지 아니한 때의 의미 (0) | 2021.01.22 |
공동수익자 중 1명에게 한 납부통지의 효력 (0) | 2021.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