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상대 가치 평가 모델(P/E relative valuation model)
한 해 앞서 예상한 수익 전망치와 장기 PER 전망치를 곱해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모델이다.
예를 들어, AT&T가 내년에 주당 4달러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고 장기 PER 전망치가 수익의 10배인 경우라면 PER 상대 가치 평가 모델을 적용하면 AT&T의 가치는 4달러 × 10, 주당 40달러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반응형
S&P500 지수(Standard and Poor's 500, S&P500)
미국의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 푸어스(Standard and Poor's)가 개발한 미국의 주가지수로서 대형 고품질 상장 주식 500개로 구성된 지수를 말한다.기준 시점의 시가총액에 비해 늘어난 현재의 시가총액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 1957년 3월 4일부터 시작하여 기준 지수 100으로 잡고 시작
- 1982년 8월 12일부터 공식적으로 100으로 기준 지수를 잡고 재산출
이때부터의 지수를 S&P500으로 본다. 당시에는 뉴욕증권거래소만 있었기 때문에 뉴욕증권거래소 종목 중에서 대형주를 추려내었으며, 나스닥 출범이후 마이크로소프트 등 나스닥 대형주도 포함하기 시작하였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종합지수와 더불어 미국증시의 3대 주가지수로 불린다. S&P500은 실질적으로 미국증시를 대표하는 주가지수이며, 투자 전문가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미국 주식 지수이다.
S&P500에 투자하는 유명한 ETF로는 SPY, VOO, IVV 등이 있다.
반응형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맹점, 가치 투자, 가치가중지수 - 금융관련 필수용어 (0) | 2022.11.22 |
---|---|
알트 A 등급 대출자, 푸어 등급 대출자, 가격가중지수 - 금융관련 필수용어 (0) | 2022.11.20 |
Forbes 400, M1, MLS, NYSE , P&L - 금융관련 필수용어 (0) | 2022.11.18 |
401(k), 403(b), 501(c)(3), B2B, FICO 점수 - 금융관련 필수용어 (0) | 2022.11.16 |
13-F양식, 시장 거래, 주가 대폭락 - 금융관련 필수용어 (0) | 2022.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