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막상식

부르주아(부르조아) 뜻, 의미, 유래, 어원

by 런조이 2024. 4. 13.

물질만능주의적인, 속물적인 자본주의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용어인 부르주아(bourgeois)는 프랑스어로 중세 유럽에서 도시의 상인이나 공장주 등 자본가 계급을 일컫는 말이었다. 이후에는 중산 계급의 가치관, 태도 또는 문화를 지칭할 때 사용되고 있다.

 

 

 

부르주아(부르조아) 뜻, 의미, 유래, 어원
부르주아(부르조아) 뜻, 의미, 유래, 어원

 

 

 

부르주아(부르조아) 뜻, 의미

부르주아(bourgeois)는 원래 프랑스어로, 중세 후기 도시에서 부를 축적한 시민 계급을 지칭하는 말이다. 역사적으로는 상업, 금융, 산업 등의 분야에서 자본을 축적함으로써 사회적,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계층을 의미한다. 현대에 와서는 넓은 의미로 중산층 이상을 가리키며, 특히 자본주의 사회에서 재산, 교육, 문화 등의 면에서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부르주아는 마르크스주의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마르크스주의에서는 부르주아를 자본가 계급으로 보고, 프롤레타리아(노동자 계급)와 대립하는 주체로 간주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부르주아는 생산 수단을 소유하며 노동자의 노동력을 착취하여 부를 축적한다. 따라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부르주아는 경제적 이익을 위해 프롤레타리아를 억압하는 계급으로 비판받는다.

 

문화적 관점에서 부르주아는 때때로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가치를 고수하는 태도로 묘사된다. 이는 새로운 사회적 변화나 혁명적 사상에 대한 거부감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부르주아 문화는 교육, 예술 및 과학 발전에 기여한 바도 크다.

 

현대 사회에서 부르주아 개념은 다양한 해석을 갖는다. 경제적으로는 중산층 이상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나,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을 가진 계층을 지칭하기도 한다.

국어사전은 '부르주아(bourgeois)'를 '① 중세 유럽의 도시에서 성직자와 귀족에 대하여 제삼 계급을 형성한 중산 계급의 시민 ② 근대 사회에서 자본가 계급에 속하는 사람  ③ 부유한 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 이렇게 세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반응형

부르주아(부르조아) 유래, 어원

부르주아(bourgeois)는 '자본가 계급'을 일컫는 프랑스어로, 이 말은 '성 안의 주민들'이라는 뜻의 라틴어 부르겐시스(Burgensis)에서 유래하였다. 

 

중세까지만 해도 유럽의 여러 도시들은 대부분 성벽으로 둘러 싸여 있었다. 이처럼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를 라틴어로 부르구스(burgus)라 하였고, 성벽 안에 사는 사람들은 부르겐시스(burgensis)라 했다. 즉, 부르겐시스(burgensis)는 '성 안의 주민들'이라는 뜻이다. 이 라틴어가 프랑스어 부르주아(bourgeois)를 파생시켰으며, 뜻은 그대로 '성 안의 주민들'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다 17세기에 들어와서 성직자와 귀족에 대항해 성안의 주민들이 제3계급을 형성하면서 봉건주의를 타파하고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였다. 뒤이어 18세기의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그들은 일약 자본가 계급으로 부상하게 된다. 그러자 이제 그들의 지배 아래에 제4계급인 프롤레타리아 계급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후 부르주아는 프롤레타리아 즉, 농민이나 노동자 계급의 반대되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즉, 부르주아는 원래 '성 안의 주민들'이라른 의미에서 출발하여 시대와 문화의 변화에 따라 '자본가 계급'을 의미하는 단어로 발전하였다. 

 

 

 

보헤미안(bohemian) 뜻, 의미, 유래, 어원

보헤미안(bohemian)은 사회의 관습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분방한 생활을 하는 방랑자나 여행자, 예술가, 문학가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보헤미안은 자유롭고 개인주의적인 특징을 가진

learnjo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