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CTP 관련주, 주행거리가 더 늘어나는(미래차 분야)

by 런조이 2022. 6. 8.
반응형

CTP 관련주, 주행거리가 더 늘어나는(미래차 분야)

1. CTP의 의미

BYD는 블레이드배터리, CATL은 CTP(Cell to Pack), LG는 Ultium배터리 라는 이름으로 플랫폼을 내놓고 있는데 모두 동일한 기술을 각자의 이름을 붙인 것이다.

 

CTP는 Cell to Pack의 약자로 모듈 단계를 없애고 셀을 바로 팩으로 만드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안정성 향상과 제어의 용이성을 이유로 모듈 단계를 거쳐야 하였으나(셀 → 모듈 → 팩) CTP 기술이 이 부분을 해결함으로써 앞으로는 모듈이 들어갈 공간에 배터리 셀을 더 넣어서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2. CTP 연관 단어

배터리 셀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해 사용할 수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기본단위

 

 

 

배터리 모듈

여러 개의 셀은 열과 진동 등 외부 충격에서 좀 더 보호될 수 있도록하나로 묶어 프레임에 넣게 되는데, 이 상태를 배터리 모듈이라고 부른다.

 

 

 

배터리 팩

모듈 여러 개를 모아 배터리의 온도나 전압 등을 관리해 주는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과 냉각장치 등을 추가한 것이다.

 

 

3. CTP 관련주의 전망

CTP 기술이 아직 검증되지 않은만큼 당장 판도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겠지만 추후 전기차 시장에 몰고 올 파장은 적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가장 앞선 나라는 중국이다.

반응형

 

4. CTP 관련 종목

관련 종목으로는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이 있다.

 


LG화학(051910)

전기차, ESS(에너지저장장치)에 탑재되는 중대형 전지 및 휴대폰, 노트북 PC, 전동공구 등 모바일 기기와 EV 및 LEV(Light Electric Vehicle)에 탑재되는 소형 리튬이온 전지를 생산 및 판매한다. 양극재, 엔지니어링 소재, IT소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삼성SDI(006400)

소형전지, 중·대형전지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사업 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사업 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수출 비중이 82.3%로 내수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BMW, 폭스바겐 등이 주요 매출처이다.

 


SK이노베이션(096770)

전기자동차 및 ESS에 사용되는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하여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