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07

모과청, 모과쨈, 모과술 만들기 모과청 만들기 모과 적당량을 준비한다. 준비된 모과에 베이킹 소다를 뿌려준 다음에 그 위에 식초를 부어준다. 식초를 부어 거품이 끓어 오르고 난뒤에 거품이 사라지면 모과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어 30분정도 모과가 잠긴상태로 둔다. 모과를 건져 낸뒤에 굵은 소금으로 모과를 박박 문질러 깨끗하게 세척한다. 깨끗하게 세척한 모과를 다시 깨끗한 소금물에 30분정도 담그어 둔다.(모과가 부드러워 진다.) 소금물에서 건져낸 후 물기를 완전히 말려준다. 이제 본격적으로 모과를 이용하여 모과청을 만든다. 우선 칼로 잘익은 모과를 잘라서 까만색 씨를 발라 낸다. 씨는 버린다. 모과과육을 보기좋게 적당히 썰어 준다. 소독한 유리병에 기호에 따라 백설탕이나 흑설탕을 깔아준다. 모과와 설탕을 교대로 칸칸이 쌓아준다. 맨 마지.. 2016. 11. 29.
모과 먹는법 모과 먹는법 모과는 꽃말이 유혹이다. 모과는 신맛, 단맛, 떫은맛이 나는 과일이다. 모과는 가을에 익는 과일의 향기도 좋지만 봄에 피는 연한 홍색의 꽃도 아름답다. 그리고 나무껍질에 흰무늬가 있어 아파트 단지 조경수나 가정집의 정원수로 쓰이는 등 관상용으로 많이 쓰이는 식물이다. 모과의 과일은 9~10월에 노랗게 익는다. 잘 익은 모과를 따서 실내나 자동차 내부에 놓아두면 실내 공기를 은은하게 향을 내면서 공기를 맑게하고 냄새를 제거한다. 또 연초록빛일때 따다가 놓아도 노랗게 익어가면서 은은하게 향기를 품어내어서 매력적인 과일이다. 모과를 예쁜 대바구니에 담아 서재나 거실등에 놓아 두면 향도 좋고 인테리어용으로도 아주 제격이다. 모과 향은 적당히 강하고 달콤하고 상큼하기도 하다. 모과에 대해 알아보면 네.. 2016. 11. 28.
자몽 먹는법 자몽 먹는법 자몽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자몽은 포도향이 나고 포도송이처럼 열매가 열려 그레이프프루트라고 불리우는 나무의 열매로서 왕귤나무의 자연 잡종이다. 원산지는 미국 플로리다와 캘리포니아이다. 플로리다산이 껍질이 얇고 과즙이 풍부하여 먹기에 좋다. 자몽의 맛은 단맛과 신맛이 섞여져 있다. 과육은 분홍색과 노란색이 있다. 분홍색 자몽은 과육이 단맛이 강하고 노란색 자몽은 과육이 신맛이 강하다. 자몽의 과피는 안쪽 부분의 섬유질이 쓴맛을 내는 원인이라고 한다. 쓴맛을 없애고 싶으면 속과피를 제거하면 된다. 자몽은 기후 관계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자몽의 성분 자몽의 주성분은 니아신, 나트륨, 단백질, 당질, 레티놀, 베타카로틴, 비타민A, 비타민B1, B2, B6, 비타민C, 비타민E, 식이섬유, 아연.. 2016. 11. 5.
멜론 먹는법 멜론 먹는법 멜론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멜론은 달달한 맛과 특유의 감미로운 향기가 난다. 멜론의 원산지는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남부,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중동으로 알려져 있다. 멜론은 캔털 루프계, 그물 맬론계, 겨울 멜론계의 3가지 분류가 있는데 이중에서 그물 멜론계와 캔털 루프계의 멜론은 향이 감미로워 머스크(사향노루) 멜론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그물 멜론과 겨울 멜론과 참외를 인위적으로 교배하여 개량한 품종인 노지 재배용 멜론이 보급되었는데, 노지 재배중에서 참외의 좋은 점을 물려받은 프린스 멜론이 대표적이 품종이 되었다. 주로 따뜻한 나라에서 멜론을 많이 심고 있고 주요 생산지로는 중국, 프랑스, 스페인, 미국, 터키, 프랑스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남 산청, 전남 곡성, 나주, 담양등이다... 2016. 11. 2.
유자 먹는법 유자 먹는법 향기 좋은 유자에 대해 알아봅니다. 유자는 유자나무의 열매이며 향기가 좋은 노란색 과일이다. 원산지는 중국의 양쯔강 상류하고 한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에서 재배된다. 유자는 중국산, 일본산, 한국산중에서 한국산이 향이 진하고 좋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서 수확된다. 열매는 과즙을 사용하고 껍질은 향을 즐기는 용도로 사용한다. 과육은 식감이 부드러우나 강한 신맛을 띠어서 생식에는 적합하지 않다. 유자청을 만들어 유자차로 이용하거나 음식(주로 떡류)에 넣어 향를 좋게 하는데 활용한다. 그외에도 쨈, 소스, 향신료등으로 많이 사용한다. 유자의 종류에는 황유자, 청유자, 실유자가 있다. 유자의 성분 유자는 전체적으로 비타민A, 비타민C, 비타민D, 비타민P, 탄수화물, 구.. 2016. 11. 1.
파인애플 먹는법 파인애플 먹는법 파인애플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파인애플의 원산지는 중미와 남미 북부로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열대 아메리카에서는 예전부터 재배해왔으나 콜럼부스의 신대륙 발견이후에 포르투갈과 에스파니아 사람들에 의해 세계 도처에 퍼졌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은 세계 각지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부 지방의 온실에서 파인애플 재배가 되고 있다. 파인애플은 바나나와 달리 비교적 오래 보관할 수 있는데 수확하고 나서도 익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가장 맛있는 시기는 수확후 3~4일정도가 적당하다. 특히, 파인애플은 키위 등과 같이 육류를 분해 하는 효소가 있어 육류와 같이 섭취할때 좋다. 파인애플은 껍질을 벗겨 생과일로 먹는다. 통조림의 가공품이 가장 많이 유통되.. 2016.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