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06

피자의 유래, 피자의 어원 피자의 유래, 피자의 어원 피자(pizza)의 어원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납작하게 눌려진' 또는 '동그랗고 납작한 빵'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피타(Pitta)에서 유래했다는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영어의 a point에서 유래되었다는 학설도 있다) 오늘날 우리가 먹는 피자와 비슷한 형태는 18세기 말부터이며 모짜렐라 치즈와 마늘, 기름, 안초비 등을 사용하였고, 19세기에는 토마토와 치즈, 돼지고기의 사용이 일반화 되었다. 19세기 후반 이탈리아는 근대화를 추진하였으나 오히려 빈곤이 격화되었다. 그러자 미국으로 이민을 떠난 사람들이 많았는데, 그 당시 빵 가게들이 불황을 겪고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불황을 틈타 일부 가게에서 피자를 만들어 팔기시작했고, 빵에 토마토 퓨레, 오레가노.. 2017. 7. 26.
바캉스의 유래, 바캉스의 어원 바캉스의 유래, 바캉스의 어원 휴가라는 의미의 '바캉스' 듣기만 해도 가슴 설레인다. 멀리멀리 떠날것만 같은 설레임이 가득한 말이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바캉스 라는 말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면 바캉스는 무슨 뜻일까? 바캉스(vacance)는 '무엇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는 뜻의 라틴어 바카티오(vacatio)에서 유래한 프랑스어이다. 무엇으로 부터 자유로워 지는 것일까? 아마 현대인의 경우 과로한 업무와 이로 인한 스트레스로 부터의 탈출이 아닐까 한다. 바캉스와 같은 의미인 '휴가'를 뜻하는 영어 베케이션(vacation)도 바카티오에서 파생했지만, 세계적으로 프랑스어인 '바캉스'가 더 많이 쓰인다. 이는 프랑스 사람들, 특히 파리 사람들이 떠들썩하게 휴가여행을 즐기고 오는 통에 '이름난 .. 2017. 7. 26.
한정판 - 희소성 심리 자극 히트 상품 한정판 - 희소성 심리 자극 히트 상품 한정판(限定版)은 일정한 수량만큼만 찍어 내는 책이나 음반등을 이르는 말이다. 한정판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희소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희소는 매우 드물고 적다는 뜻으로 "인간의 물질적 욕구에 비해 그 충족 수단이 질적· 양적으로 제한되어 있거나 부족한 경우를 가리키는 말"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모든 사람이 갖고 싶어하지만 실제로 가질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라면 가치는 그만큼 올라가게 마련이다. 최근에는 사람들이 갖고 있는 희소성 심리를 자극하여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한정판(limited edition)' 제품이다. 그야말로 '이번 기회가 아니면 더 이상 구입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해 소비자들의 소비욕구를 자극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주로 자동차.. 2017. 6. 27.
베블런 효과 - 비쌀수록 잘 팔리는 베블런 효과 - 비쌀수록 잘 팔리는 베를런 효과라고 들어 보셨나요? 일반적으로 제품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들게 마련이다. 그런데 가격이 올라도 수요에 변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오히려 비쌀수록 더 많이 팔리기도 한다. 이런 현상을 흔히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라고 한다. 베블런 효과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의 예외에 해당하는데 위풍재의 경우에 해당한다. 쉽게 말해 가격이 오르는데도 일부 부유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으로 인해 수요가 줄지 않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렇다면 이 베블런 효과라는 것은 언제 누가 처음 사용하였을까요? 이 용어는 미국의 사회학자 베블런(Thorstein B. Veblen)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 2017. 6. 19.
프랜차이즈의 유래, 프랜차이즈의 어원 프랜차이즈의 유래, 프랜차이즈의 어원 프랜차이즈(franchise)는 프랑스어로 '권리' 또는 '자유'를 뜻하는 말 프랜처(francher)에서 파생한 영어이다. 중세 유럽에서 가톨릭교회는 세금을 징수하는 관리에게 일정한 몫은 자신이 갖고 나머지는 교회에 납부하도록 했는데, 어느 정도의 권리가 주어지는 이 제도를 프랑스어로는 프랜처, 영어로는 프랜차이즈라고 했다. 프랜차이즈를 맨 처음 비지니스 개념으로 도입한 회사는 1860년 미국의 싱거 재봉틀회사이다. 그 후 1898년에 제너널 모터스 자동차회사가 이 제도를 도입하면서 그 효율성을 인정받았고, 다른 직종 및 서비스 분야에까지 급속히 확산되었다. 상법상에서의 프랜차이즈는 타인의 상호 · 상표 등이나 경영 노하우를 자기 사업에 이용하기 위해 수수료(또는 .. 2017. 5. 24.
보이콧의 유래, 보이콧의 어원 보이콧(boycott)의 유래, 보이콧의 어원 보이콧(boycott)은 '거부', '배척'을 뜻하는 말이다. 국어사전에는 '어떤 목적을 관철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상대방을 배척하거나 거부함.' , '특정 상품을 조직적, 집단적으로 사지 않기로 함. 또는 그렇게 벌이는 운동.'이라고 되어있다. 이러한 보이콧(boycott)은 사람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산업혁명 이후 영국의 아일랜드 지배가 노골화되던 1880년 어느 날, 찰스 보이콧(Charles Boycott)이란 영국인이 아일랜드 북동부의 한 경작지 지배인으로 부임하였는데, 그 해에 큰 흉년이 들자 소작농들은 지주에게 소작료를 내려줄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욕심많은 지주는 이를 거부하고 지배인인 보이콧(Charles Boycott)을 시켜서 강제로 징수.. 2017.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