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세/용어사전

[용어] 손익계산서, 손익법, 손익분기점

by 런조이 2018. 7. 20.
반응형

 

 

 

 

 

     

손익계산서(損益計算書  Income Statement, I/S)

기업에서 일정기간(1회계연도)의 경영활동성과를 표시하는 회계보고서인 바,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B/S)와 함께 기업회계에서 가장 중요한 재무제표로서 손익계산서는 동태적 정보를, 대차대조표는 정태적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손익계산서는 회계기간 중 발생한 모든 수익과 비용을 대비시켜 당해 기간의 순이익을 계산 · 확정하는 이해관계인에 대한 보고서이며 「기업회계기준 및 상장법인 등의 재무제표에 관한 규칙」등에서 기업의 경영성과를 명확히 표시하기 위하여 그 회계기간에 속하는 모든 수익과 이에 대응하는 모든 비용을 기재하여 경상손익을 표시하고 이에 특별손익에 속하는 항목을 가감한 다음 법인세 등을 차감하여 당기순이익을 표시하여야 한다는 내용 등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손익계산서는 기업의 목적달성 정도를 측정하는 기준이며 경영정책의 수립과 방향 설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된다. 양식에는 계정식(計定式)과 보고식이 있는데 기업회계기준에서는 보고식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계정식은 총계정원장의 차변과 대변을 그대로 옮겨놓은 형식으로 총비용과 총수익의 대조에 편리한 방식이나 일반의 이해관계자가 이해하기 쉽고 편리한 형식을 채용하기 위해 보고식을 택하고 있다.

 

 

손익법(損益法  profit-and-loss method)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방법으로서 모든 수익과 비용항목을 별도로 각각 집계하고 그 차액으로써 손익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손익분기점(損益分岐點  break even point)

매출액과 그 매출을 위해 소요된 모든 비용이 일치되는 점을 말하는데, 투입된 비용을 완전히 회수할 수 있는 매출액이 얼마인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손익분기점 매출 이상의 매출을 올림으로써 이익이 발생한다. 한편 손익분기점 매출을 매출액으로 나눈 것을 손익분기점 비율이라고 하는데 그 비율이 낮을수록 수익력이 높은것을 나타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