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07

샐러리(salary)의 유래, 어원 샐러리(salary)란 말은 라틴어 샐라리움(salarium)에서 나온 말이다. 조금더 자세히 살펴보면 앵글로 프렌치(Angol-French) 방언인 ‘sararie’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sararie에는 ‘임금, 지불, 보상’의 뜻으로 지금의 salary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sararie’라는 단어도 그 근원을 더 살펴보면 라틴어 샐라리움(salarium)에서 나오게 되었다고 한다. 샐라리움은 소금 돈, 즉 염전(鹽錢)을 뜻했는데 로마 시대에는 소금이 귀하여 그것이 화폐처럼 쓰였고, 군병들에게 급여를 지급할 때 샐라리움으로 지급했다. 여기서 봉급을 뜻하는 영어 샐러리가 생겨났다. 한편, ‘근로자’,'봉급생활자', '고용인'를 뜻하는 샐러리맨(salary man)은 정식 영어가.. 2021. 9. 7.
타이어는 왜 검은색일까? 자동차 타이어는 왜 검은색일까? 사실 자동차뿐만 아니라 자전거, 오토바이등 모든 타이어는 다 검은색입니다. 간혹 자동차의 색깔은 매우 다양하다면 어떨까 하고 생각하지만 타이어는 세계 어디서나 검은색으로 통일되어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거기엔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자동차 타이어는 인조고무나 천연고무를 가공해서 만드는데, 순수한 고무 상태일 때는 검은색이 아닙니다. 만약 단순하게 고무로만 되어 있다면 타이어는 굉장히 물렁물렁할 것입니다. 그래서, 험난한 도로를 주행할 정도로 튼튼한 타이어를 만들려면 고무만 가공해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타이어를 만들때는 고무의 2분의 1 분량만큼 카본(Carbon)을 보강제로 섞게 된다고 합니다. 카본은 새까만 탄소 가루로 되어 있고, 그래서 타이어가 까맣게.. 2021. 9. 1.
케인즈의 주식투자 원칙(6) 케인즈의 주식투자 원칙, 6가지 주식투자에 목마른 주린이를 위한 대가의 투자지침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시장의 추세를 점치려고 하기보다는 특정 주식의 예상수익률로 나타나는 내재가치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2. 매수한 주식에 충분히 큰 안전마진, 즉 주식의 예상 내재가치와 주가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신해야 한다. 3. 주식을 평가할 때는 독자적으로 판단하고 종종 대중을 거스르는 투자전략도 받아들여야 한다. 4. 매수한 주식은 꾸준히 보유해 거래비용을 제한하고 지속적인 주가의 등락에 스트레스를 받지않도록 한다. 5. 자본 가운데 상대적으로 큰 부분을 주식시장의 '미인주'에 투자하는 포트폴리오 집중 전략을 취해야 한다. 6. 결단력 있는 행동, 평정심과 인내 사이에 균형을 취할 수 있는 기질을 가져야.. 2021. 8. 29.
샌들(sandal)의 유래, 어원 샌들(sandal)이란 말은 그리스어로 ‘널빤지’란 뜻의 샌달리온(sandalon)에서 유래했다. 고대 이집트나 그리스·로마 시대의 신발은 보통 널빤지 또는 통가죽을 끈이나 밴드로 동여매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대부분 발등과 발가락이 드러나는 형태였다. 당시 신발은 주로 종려나무의 섬유나 야자수 잎의 섬유, 파피루스, 양가죽, 소가죽 등으로 만들었으며, 왕족이나 귀족이 신었던 앞부리가 뾰족한 신발은 동방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 로마 시대에 들어 샌들의 황금기가 찾아왔고, 그 후 신발이 구두 모양으로 견고성을 갖추기 시작한것은 십자군전쟁 이후부터이다. 그들은 오랜 행군과 전투를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신발이 필요했다. 이를 계기로 샌들은 급격히 쇠퇴하고 구두나 부츠가 널리 사용되다가 .. 2021. 8. 25.
사이코(psycho)의 유래, 어원 사이코(psycho) 사이코(psycho)의 어원은 그리스어 프쉬케(Psyche)이며, 프쉬케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름다운 공주의 이름이다.그리고 ‘정신’이란 뜻을 지니고 있는 접두사로도 쓰인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프쉬케는 너무나 아름다웠기 때문에 사람들은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보다도 그녀를 더 흠모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이에 질투를 느낀 아프로디테(비너스)는 자신의 아들인 에로스에게 프쉬케가 사람들의 사랑을 받지 못하도록 시켰다. 그리하여 프쉬케는 비운의 길을 걷게 되었지만, 에로스는 프쉬케의 미모에 빠져 부부가 되어 ‘기쁨’이라는 아들을 낳게 된다. 프쉬케는 또한 그리스어로 ‘정신’이라는 뜻 외에 ‘나비’라는 의미도 지니고 있다. 나비는 미천한 애벌레의 생활을 거쳐 고치를 뚫고 나와 아름다운.. 2021. 8. 24.
사이렌의 유래, 어원 오늘날 시끄러운 경보음 또는 그 소리를 내는 장치를 일컫는 말 사이렌(siren)은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발명가인 C.C.투르가 1819년에 발명한 경보장치입니다. 그런데 이 사이렌이라는 말은 소리로서 사람들을 위험에 빠지게 하는 그리스 · 로마신화에 나오는 바다의 요정 세이렌(seiren)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이렌하면 빠지지 않는 우리가 잘아는 스타벅스의 로고 역시 사이렌을 형상화 한 것이라고 합니다. 아마도 사이렌처럼 스타벅스 커피의 향과 분위기로 지나가는 고객들을 유혹하겠다는 의지인 듯 합니다. 이러한 그리스 · 로마신화신화에 따르면 상반신은 여자이고 하반신은 물새인 세이렌들은 이탈리아 서부 해안의 절벽과 바위로 둘러싸인 사이레눔 스코풀리(Sirenum Scopuli)라는 섬에 사는데,.. 2021.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