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07

화재의 원인과 예방법 다양한 화재의 원인 자연적 화재 화재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원인으로 나눌수 있다. 면저, 자연적 화재의 원인중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번개이다. 번개의 온도는 우리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인 약 30,000도씨정도이다. 이것은 태양 표면 온도의 다섯 배정도 된다고 한다. 정말로 상상도 못 할 온도이다. 그래서, 번개가 치면 목조 건물인 경우에는 불이 붙기도 하며, 전선에 번개가 닿을 경우에는 열을 받아 전선이 폭발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번개외에도 강렬한 태양이 내뿜는 햇볕이나 가뭄 등에 의해서도 자연적으로 화재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한 여름의 경우에는 뜨거운 태양아래 노출된 자동차의 경우에는 폭발하는 경우도 있으며, 미국의 캘리포니아처럼 매우 건조한 지역에서.. 2016. 9. 30.
소화기와 소화전 소화기와 소화전 소화기의 종류와 사용법 소화기는 화재진압 초기 단계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소화기의 원리는 소화약제로 화재를 냉각시키거나 산소 공급을 막아 불을 끄는 원리이다. 일반적으로 포말 소화기,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가 있다. 먼저 소화약제의 화학 반응으로 만들어진 거품이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포말 소화기, 소화 약제 분말이 불에 닿아 분해되며 이산화 탄소 등을 발생시키서 산소를 차단하는 것은 분말 소화기, 불에 직접 액화 이산화 탄소를 뿌려 산소를 차단하는 것은 이산화 탄소 소화기이다. 그리고 소화 약제로 할론을 사용하는 할론 소화기는 전기나 가스 화재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은 소화기 사용법이다. 먼저, 소화기는 바람을 등지고 불쪽으로 접근한다. 그다음, 소화기를 바닥에 내려놓.. 2016. 9. 29.
불은 어떻게 만들까? 불은 어떻게 만들까? 불은 어떻게 만들까? 아주 어릴때 우리가 누구나 궁금해 하던 질문들 중에 하나이다. 성냥이나 라이터가 없던 아주 옜날에는 어떻게 해서 불을 만들어 사용했을까? 아주이전 원시인들은 부싯돌을 이용해 불을 만들어 사용했을것이다. 부싯돌을 비비면 마찰력이 생겨 온도가 올라가서 불꽃이 생기고, 이 불꽃이 마른 지푸라기처럼 불에 잘 붙는 물질에 옮겨 붙으면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불이 붙게 되는 것이다. 아는바와 같이 불이 물질을 태우며 열과 빛을 내는 현상을 연소라고 학교에서 배웠다. 이처럼 연소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수준 이상의 높은 온도(부싯돌의 마찰열)와 탈것(짓푸라기), 그리고 공기중의 산소가 필요하다. 우리는 이 3가지를 연소의 3요소라고 배웠는데 이3가지중 하나라도 없으면 불은 생.. 2016.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