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변(借邊 debtor/Dr)
복식 부기에서 계정(計定) 형식으로서 우측이 대변이고 좌측이 차변인 바, 자산(資產) · 부채(負債) · 자본 및 수익비용의 발생 · 증가와 감소 · 소멸에 있어서 자산의 증가 · 부채 및 자본의 감소 · 비용의 발생이 기록된다. 예컨대 원료를 구입할 때, 대금 일부를 현금으로, 나머지를 어음으로 지급하고 사 온 경우 차변에 원료(자산의 발생) 계정, 대변에 현금(자산감소) 계정과 지급어음(부채의 발생)을 기록하게 된다.
차입금(借入金 debt loan)
기업에서 일정한 기한 내에 원금과 일정한 이자를 지급한다는 채권 · 채무 계약에 따라 조달된 기업자금을 말한다. 차입금은 시설자금 차입, 사채(社債) 등 장기차입금과 상업신용에 근거한 어음대부 등의 단기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유담보 · 무담보, 또는 차용증서에 의한 것과 대인신용에 의한 것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상환기한 1년 이내를 단기로 규정하고 있다.
반응형
'지방세 >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가압류 - 용어 (0) | 2019.04.06 |
---|---|
착오, 착오납부 - 용어 (0) | 2019.04.06 |
차량, 차량의 종류변경 - 용어 (0) | 2019.04.05 |
징수유예 등의 효과, 징수촉탁 - 용어 (0) | 2019.04.05 |
징수유예 등에 관한 담보, 징수유에 등의 취소 - 용어 (0) | 2019.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