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 수익률, 매입채무, 매입원가 평균법 - 미국금융 관련용어
만기 수익률, 매입채무, 매입원가 평균법 - 미국금융 관련용어 만기 수익률(yield to maturity, YTM) 채권의 할인율. 채권에 투자한 후부터 만기 상환일까지 기간 동안에 그 채권으로부터 유입되는 모든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그 채권을 매입하는 시점의 매입가격을 일치시키는 할인율을 일컫는다. 만기까지 채권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하는 평균 연수익률에 대한 시장의 전망치라고도 한다. 또는 단일 수익률, 유통 수익률, 내부 수익률, 시장 수익률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단, 투자자가 만기 수익률을 실제로 얻기 위해서는, 첫째 채무불이행이 없어야 하고, 둘째 만기일까지 보유하여야 하며, 셋째 모든 액면이자는 만기 수익률과 동일한 수익률로 재투자되어야 한다. 매입채무(accounts payable) 사업체..
2023. 4. 23.
유머(humor)의 의미, 어원, 유래
유머(humor)의 의미, 어원, 유래 유머(humor)의 의미 유머는 남을 웃기는 말이나 행동을 말하며, 익살이나 우스개 등으로 불린다. 사람을 웃기는 행동답게 분위기 전환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익살이라는 면에서는 개그와 비슷한 면이 있지만 개그는 웃기는 행동에 중심이 있다면, 유머는 농담이나 다른 방법으로 재미를 일으키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유머(humor)의 어원, 유래 유머라는 말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의 체액약 이름 'humours'에서 왔다. 이 체액약은 몸에서 액체의 균형을 잡아 건강과 감정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라틴어 'humor(체액)' , 'umor(수분, 수액)'이 고대 프랑스어 'humor'로 사용되었고, 그 후 중세 영어로 사용되었다. 즉, humor, umor는 인체..
2023. 4. 14.
칼럼(column)의 의미, 어원, 유래
칼럼(column)의 의미, 어원, 유래 칼럼의 의미 칼럼(column)은 신문, 잡지 등에서 시사문제, 사회풍속 등을 촌평하는 난 또는 기사를 말하며 칼럼을 담당하여 집필하는 사람을 칼럼니스트라고 한다. 주로 논설위원이 쓰고, 사회의 저명인사가 쓰기도 한다. 사설이 사론을 대표하고 정치, 경제, 사회의 중요한 사항에 대하여 이야기한다면 칼럼은 모든 것을 소재로 하여 한 사람의 필자가 주관적인 입장에서 서술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사설보다는 보다 독자들에게는 친근하고 쉽게 다가올 수가 있다. 하지만 칼럼은 객관적인 정보 전달보다는 개인의 주장과 논리의 설득및 전파에 더 무게가 실리기 때문에 정지척 사안에 있어서는 언론사별로 칼럼의 성격이 상당한 온도차이가 날 수 있다. 우리말로는 평론, 시평,단평 정도..
2023.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