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07

더치 페이(Dutch pay)의 의미, 어원, 유래 더치 페이(Dutch pay)의 의미 더치 페이(Dutch pay)는 여러명이 함께 음식을 먹은 뒤 각자 자기 몫의 음식 값을 자기몫에 맞추어 나누어 내는 것을 말한다. 더치 페이 또는 더치 트리트(Dutch treat)라고도 한다. 우리말로는 '각자내기' 정도가 된다. 흔히 '뿜빠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일본말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는 더치 페이란 말을 많이 사용하지만 영어권 국가에서는 더치 트리트(Dutch treat)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더치 페이이라는 표현은 콩글리시(한국식 영어표현)이다. 실제로 영어권 국가에서는 'going Dutch', 'doing Dutch' 라고 사용한다. 더치 페이(Dutch pay)의 어원, 유래 더치 페이의 더치(Dutch)는 '네덜란드의'라는 의미이고.. 2023. 2. 14.
다크호스(dark horse)의 의미, 유래 다크호스(dark horse)의 의미, 유래 다크호스(dark horse)의 의미 다크호스(dark horse)는 경마에서 능력을 알 수 없지만 의외의 성과를 내는 말을 의미한다. 영어 다크(dark)에는 '검은', '캄캄한'이란 뜻 외에 '미지의', '알 수 없는'이란 뜻이 있다. 그러므로 다크호스(dark horse)를 직역하면 '알 수 없는 말'이 된다. 즉, 경마에서 실력이 확인되지 않은 말 또는 의외의 결과를 가져올지도 모르는 말을 가리켜 다크호스라 한다. 그 후 다크호스란 말은 차츰 '뜻밖의 강력한 경쟁상대나 후보자' 또는 '실력은 잘 알 수 없지만 유력하다고 생각되는 경쟁상대 또는 후보자',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비밀', '기대 이상으로 관심을 끌며 급부상하는 것' 등을 가리키는 .. 2023. 2. 2.
단타매매자, 당좌예금계좌, 대금 청구서 - 미국금융 관련용어 단타매매자(flipper) 주식시장에서 이익을 얻기 위하여 매수 후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자산을 가지고 있다가 판매를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IPO 직후 기업의 주식을 판매하거나 싼 가격에 구매한 주택을 판매하는 경우에도 해당되는 말이다. 특히, 주식단타는 투자라기보다는 투기의 성격이 매우 강하다. 대부분 극소수 전문가만이 수익을 챙기고 나머지는 돈을 잃는 게 보통이다.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쌓은 후에 장기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은 방안이다. 당좌예금계좌(checking account) 당좌예금은 보통예금처럼 입출금이 자유로우면서도 대금 거래에 필요시 수표나 어음을 발행 할 수 있는 예금이다. 수표책이 따라오는 저축계좌이기도 하다. 보통 개인사업자나 법인 간의 거래에서 사용된다. 입출금이 빈번하게 .. 2023. 1. 27.
다이너마이트(Dynamite)의 의미, 유래, 어원 다이너마이트(Dynamite)의 의미, 유래, 어원 다이너마이트는 노벨상으로 유명한 발명가 알프레드 노벨이 발명한 폭약을 총칭하는 말이다. 다이너마이트는 니트로글리세린 또는 니트로글리콜을 약 6% 이상 포함하는 폭약을 일컫는 말이다. 다이너마이트는 최초의 고형 폭탄이다. 액체 상태인 니트로글리세린은 외부의 힘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조그마한 충격에도 폭발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폭발력이 강하여 인명 피해도 상당하였다. 그래서 그상 그대로 취급하기에는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그런데 1866년 알프레드 노벨(Alfred Nobel)은 이러한 니트로글리세린을 투과성이 높은 규산이 함유된 규조토에 흡수시켜 나이트로글리세린을 배합해 반죽 형태의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가소성 폭약으로 전환하는 .. 2023. 1. 25.
빵의 유래, 어원 빵은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음식 중의 하나입니다. 빵이 처음 만들어진 것은 약 1만 2,000년 전인 신석기시대라고 합니다. 최초에는 거칠게 부순 곡물과 물을 섞어 만든 반죽을 불에 달군 돌 위에 놓은 후 뜨거운 재로 덮어 구웠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빵의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양식’을 뜻하는 라티어 파니스(panis)가 나옵니다. 이 말이 이탈리아어 파네(pane), 프랑스어 팽(pain), 스페인어 판(pan), 포르투칼어 팡(pao)이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로 들어오면서 빵으로 바뀌었답니다. 결국은 일본말에 가까운 느낌입니다. 빵은 로마시대 때 제빵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널리 확산되었는데 로마제국의 붕괴와 함께 제빵기술도 쇠퇴했져 버렸으나, 르네상스 시대를 맞아 다시 기술이 부활하여 질 좋은 .. 2023. 1. 22.
미국 ETF 업종별 종목 분류 미국 ETF 업종별 종목 분류 ☆. 업종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금융, 산업재, 소재, 에너지, 유틸리티, 부동산 업종 ETF 종목 1 필수소비재 XLP, VDC, IYK 프록터앤겜블, 코스트코, 코카콜라 2 헬스케어 XLV, VHT, IYH 유나이티드 헬스, 존슨앤존슨, 에브비 3 금융 XLF, VFH,IYF 버크셔 헤서웨이, 제이피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 4 산업재 XLI, VIS,IYJ UPC, UPS, 레이시온 테크놀로지 5 소재 XLB, VAW,IYM 린데 프로포트 맥모란, 뉴몬트 코퍼레이션 6 에너지 XLE, VDE, IYE 엑손모빌, 쉐브론, 이오지 리소시스 7 유틸리티 XLU, VPU, IDU 넥스트에라에너지, 듀크에너지, 서던 컴퍼니 8 부동산 VNQ, XLRE, IYR 프롤로지스, 아메리.. 2023.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