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06 MCN 관련주, 크리에이터들을 관리하는 소속사(미디어 분야) MCN 관련주, 크리에이터들을 관리하는 소속사(미디어 분야) 1. MCN의 의미 MCN은 Multi Channel Network, 즉 다중 채널 네트워크의 줄임말이다. 1인 방송 창작자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이다. 유튜브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수익을 내는 채널이 많아지자 이들을 묶어 관리해 주는 곳도 생겼다. 그러한 곳이 바로 MCN이다. 여러 유튜브 채널이 제휴해 구성한 MCN은 일반적으로 제품·프로그램 기획, 결제, 교차 프로모션, 파트너 관리, 디지털 저작권 관리, 수익 창출·판매 및 잠재 고객 유도 등 영역을 콘텐츠 제작자에게 지원한다. 소속사나 기획사라 해도 무방하다. MCN은 기본적으로 가장 큰 MCN 플랫폼에 해당하는 유튜브 채널을 관리하고 여기서 나오는 수익을 나눈다. 광.. 2022. 8. 1. MU-MIMO 관련주, 다중사용자장치 (5G 분야) MU-MIMO 관련주, 다중사용자장치 (5G 분야) 1. MU-MIMO의 의미 MU-MIMO는 Multi user -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의 약자로 다중사용자장치라고도 한다. 무선 네트워크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도록 셜계되었으며, 해당 공유기가 여러 장치와 동시에 데이터를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조율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말 그대로 여러 개의 안테나를 결합한 장치다. MU-MIMO를 이용하면 다수의 스마트폰이 동일한 주파수에서 동시에 통신하고 여러 경로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기지국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전파 간섭을 최소화해 체감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현재 5G 커버리지를 감안할.. 2022. 7. 31. 온디맨드 관련주, 개인의 니즈와 트렌드를 파악(언택트 분야) 온디맨드 관련주, 개인의 니즈와 트렌드를 파악(언택트 분야) 1. 온디맨드의 의미 온디맨드(On Demand)는 '요구만 있으면 언제든지'라는 뜻의 'On'과 'Demand'의 합성어이다. 온디맨드 경제는 공급이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수요가 중심이 되어 모든 것을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플랫폼과 기술력을 가진 회사가 수요자의 요구에 즉각 대응하여 서비스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은 단순히 질 좋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해 주고 둘 간 거래를 원활하게 중개하는 역할도 한다. 온디맨드 경제를 활용하는 사례로서는 공유경제를 기초로 하는 미국의 우버가 온디맨드 경제의 실례이다. 우리나라에는 카카오택시, 티맵택시, 배달의 민족, 요기요 등이 대표적인 기업이.. 2022. 7. 30. 팹리스, 반도체의 핵심부문(소부장 분야) 팹리스, 반도체의 핵심부문(소부장 분야) 1. 팹리스의 의미 팹리스(Fabless)는 제조설비(반도체 제품을 직접 생산)를 의미하는 Fabrication과 '~이 없는'이라는 뜻의 less를 조합하여 만든 말이다. 자체 생산시설을 갖추지 않고 인력들이 반도체 설계와 개발만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회사를 말한다. 생산은 100% 위탁 생산하여 제품을 판매한다. 대표적인 업체로는 미디어텍, 애플, 퀄컴, 엔비디아, AMD 등이 있다. 디지털 산업의 발전으로 각종 IT 기기와 전자식 장치의 제어·운용을 책임지는 시스템반도체의 사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설계만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팹리스 회사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비록 반도체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건 설계이지만 생산을 하려면 생산라인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팹리스 업.. 2022. 7. 29. RRH, RRA 관련주, 5G 커버리지 필수 장비(5G 분야) RRH, RRA 관련주, 5G 커버리지 필수 장비(5G 분야) 1. RRH의 의미 RRH(Remote Radio Head)는 '차세대 기지국'이라 불린다. 소형 기지국 장비로 3G에서 4G로 넘어갈 때 생겨났다. RRH는 LTE 보급 확대와 함께 기지국이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용량을 늘리면서도 기지국 투자비는 줄일 수 있어 LTE 등 제4세대 이동통신 보급과 함께 기지국 표준 장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동통신의 주파수는 세대로 넘어 갈수록 높아지고,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커버리지(서비스 가능 지역)는 점차 좁아진다. RRH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꼭 필요한 장비였다. RRH는 대기 중에 필요한 데이터만 골라 수신하는 무선(RF) 부문과 이 데이터를 해독하는 제어(베이스밴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2022. 7. 28. 5G 주파수 경매 관련주, 사용료를 내시오(5G 분야) 5G 주파수 경매 관련주, 사용료를 내시오(5G 분야) 1. 5G 주파수 경매의 의미 주파수 경매제도(Frequency Auction System)는 특정 전파 사용을 희망하는 업체가 여럿일 경우 가격 경쟁을 시켜 최고 액수를 제시하는 기업에 사용권을 주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최근 C-밴드라고 불리는 주파수 3.7~4.2 GHz에 대한 경매를 진행했었는데 '버라이즌', 'AT&T' 같은 대형 통신사들이 참여해서 화제가 된 바 있다. 참고로 최근의 우리나라의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40~3.4GHz 대역의 5세대이동통신(5G) 주파수 추가 할당 대상 법인으로 LG유플러스를 선정하였다. 이에 LGU+가 최종 할당을 받으면 2025년 12월까지 15만국(총 누적)의 5G 무선국을 구축하고, 농어촌 공동.. 2022. 7. 27. 이전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435 다음